

powershell 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서
wsl --ins
시작 탭에 우분투랑 펭귄(WSL)이 보임!

wsl -l -o
위 코드를 통해 배포판 목록을 확인한다.
그리고 우분투 실행

user, 1234 로 설정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가 접속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권한이 세분화되어있음'user(유저)', 'group(그룹)', 'others(외부인)'

drwxr... - 디렉토리
-rw-... - 파일
.파일명 - 디폴트가 숨긴 파일
user(1) : r 읽기, w 쓰기, x 실행
group(2) : 중간에 r만 있는 것 -> 읽기만 가능
chmod 권한을 주는 명령어
ex) chmod 777 파일이름
4: read
2: write
1: excute
chmod 500
-> group others는 아무 권한이 없고 user에게는 read와 excute를 주겠다.
user@5-12:~/test$ chmod 777 test.txt 를 하니
-rw-r--r-- 1 user user 0 Sep 3 10:38 test.txt 에서
-rwxrwxrwx 1 user user 0 Sep 3 10:38 test.txt 로 바뀌었다. 권한 목록이 꽉 참!

내 컴퓨터의 로컬 디스크C로 이동도 가능
리눅스와 윈도우는 호환이 안됐었는데, 우분투로 가능하게 도와줌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접근해서 파일보기 가능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tutorials/gui-apps
Linux용 Google Chrome을 설치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디렉터리를 임시 폴더로 변경합니다. cd /tmp
wget을 사용하여 다운로드합니다. wget https://dl.google.com/linux/direct/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fix-missing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여기서, apt update가 되지 않아서 업데이트 후 다시 크롬을 설치했다.
그리고 WSL은 한글이 지원이 안되어있기 때문에 한글화 작업을 해준다.
강사님 블로그 참고
순서대로 작업 진행하는 과정에서 vi가 아닌 vim 편집기 설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