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U?

강희도·2023년 8월 19일
0

GNU는 리눅스 성공에 큰 역활을 기여를 한 프로젝트이다. 그래서 리눅스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GNU가 나오는 이유이다. 전부 기억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알아두면 좋다!

GNU은 ** GNU is Not Unix의 약자로 자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중심 인물인 리처드 스톨먼**에 의헤 시작이 되었다. 리처드는 Unix가 갈수록 자유롭게 사용되던 소프트웨어를 점점 독점하여 제안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참고로 GNU는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를 배포하기 이전에 이야기 이다.

GNU의 4가지 자유

www.gnu.org 해당 사이트에서 집적 읽어 볼 수 있으니 시간이 남는다면 찾아서 읽어 봐라

  • 프로그램을 어떤한 목적으로도 실행할 수 있는 자유
  •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학습
  • 하고, 자신의 필요에 맞게 제작할 수 있는 자유, 이를 위해서는 소스 코드에 대한 접근이 전제되어야 한다.
  • 이웃을 도울 수 있도록 복제물을 재배포할 수 있는 자유
  • 프로그램을 개선할 수 있는 자유와 개선된 이점을 공동체 전체가 누릴 수 있도록 발표할 자유, 이를 위해서도 역시 소스 코드에 대한 접근이 전제되어야 한다.

리눅스와 GNU의 관계

GNU 프로젝트는 자체적으로 커널을 개발을 진행 중이었지만 완성하지 못하고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한 리눅스 커널과 GNU의 여러 응용 프로그램이 결합되여 완성된 형태의 운영체제로 태어났다.

GNU 프로젝트로 만든 프로그램에 대한 라이선스를 배포하기 위해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라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1989년에 제정했다.

GPL의 버전은 www.gnu.org/licenses/licenses.html 에서 확인할 수 있다.

GPL의 5가지 의무

GPL 다음 다섯 가지 의무를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 강제하고 있다.

  • 컴퓨터 프로그램을 어떤한 목적으로든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법으로 제한하는 행위는 할 수 없다.
  •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복사본을 언제나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와 함께 판매하거나 소스 코드를 무료로 배포해야 한다.
  • 컴퓨터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용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의 소크 코드를 반드시 공개 배포해야 한다.
  •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반드시 똑같은 라이선스를 취해야 한다. 즉, GPL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한다.

리눅스 배보판

초창기에는 리눅스 커널에 GNU 프로젝트의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상하는 작업은 매우 힘든 작업이였다. 이에 여러 회사와 개발자들이 리눅스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리눅스 커널과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배포판을 공유 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배포판이 많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난 지금은 엄청난 수의 리눅스 배포판이 있다. CentOS, 레드헷, 데미안 등…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우분투도 데비안에서 파생 되었다.

해당 이미지 출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b/Linux_Distribution_Timeline.svg

profile
제가 올리는 글에서 잘못되거나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 피드백을 주시면 정말로 감사하게 여기고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