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 없음" 후기

Kangyeol Kim·2022년 5월 19일
1

남기고 싶은 문구

  • 피드백 문화에 대한 통계

    1. 응답자의 57%가 긍정적 피드백보다 오류 수정 피드백을 더 선호한다고 답했다.
    2. 응답자의 72%가 오류 수정 피드백을 받으면 성과가 더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3. 응답자의 92%가 전달 방법만 적절하다면 부정적인 피드백이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 피드백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 내 생각

    1. AIM TO ASSIST (도움을 주겠다는 생각으로 하라)
    2. ACTIONABLE (실질적인 조치를 포함하라)
    3. APPRECIATE (피드백을 받으면 감사하라) - 합리성을 따지기 전에 감사해야된다.
    4. ACCEPT OR DISCARD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라)
  • 선샤이닝 효과

    중요한 것이든 사소한 것이든,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리더부터 정보를 공개하면 다른 사람들고 따라서 그렇게 할 것이다. 넷플릭스에서는 이것을 '선샤이닝(sunshining)'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이렇게 밝은 햇볕에 온몸을 드러내듯, 가능한 한 많은 것을 공개하려고 노력한다.

  • 성공하면 축하하고, 샐패하면 선샤이닝하라

    성공하면 공적인 자리에서 '반드시' 칭찬하라. 예를 들어, "자네가 옳았어! 내 생각은 틀렸고!", 이처럼 상사의 의견에 부하직원이 제동을 걸어도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는 것을 전 직원에게 보여주어야한다. 실패하면 1. 그 프로젝트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물어보라 / 2. 그 일로 수선을 피우지 말라. / 3. 그녀에게 실패를 선샤이닝하라고 요청하라.

  • 맥락을 짚어줘서 관리하는 방법

    맥락만 짚어주는 방식은 좀 더 까다롭지만, 실무진에게 상당한 자유를 주는 프로세스다. 상사는 실무자의 업무 활동을 감독하거나 통제하지 않고 팀원들이 훌륭한 결정을 내려 일을 끝낼 수 있도록 모든 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되면 실무진 각자의 의사결정 근육이 튼튼해져 이후로도 좀 더 나은 결정을 독자적으로 내릴 수 있다.

profile
Ph.D. Student @ KAIST / Co-Founder @ Letsur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11월 23일

멋있어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