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기기와 상호작용하는 법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핸드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이다.
1980년대에 Graphical User Interface (GUI)라는게 정의가 됐는데, 그래픽을 사용해서 사용자와 컴퓨터 또는 기기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다.
예를들면 창, 아이콘, 버튼, 메뉴 등 시각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마우스, 키보드, 터치입력같은 것을 통해서 사용자가 시스템이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GUI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풍부한 환경을 제공해서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Windows, macOS, Linux 등의 인터페이스는 모두 GUI를 사용중이다.
다시 User Interface(UI) 로 돌아가자.
UI는 아래의 것들에 중점을 두고있다.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 UX)은 제품이나 서비스 주변의 전반적인 경험을 의미하고, 사용자의 감정적 상태, 문맥또는 환경, 설계된 시스템 또는 작품을 고려한다.
UX는 제품의 전체적인 경험에 초점을 맞춘 이간 중심의 디자인 분야로, 아래의 사항들에 중점을 둔다.
하나씩 정리해보자면,
전략 (Strategy)
이 제품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는지? 이 계층은 모델 중에 가장 추상적인 부분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비즈니스 목표 모두를 고려한다.
영역 (Scope)
어떤 제품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는가? 이 계층에서 팀은 기능 요구사항 ( 어떤 특징을 구축할 것인가?)과 콘텐츠 요구사항 ( 포함할 문서 및 시각적 정보)을 정의한다.
구조(Structure)
디자인은 어떻게 구성되고 상호작용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이 계층에는 정보구조 (콘텐츠의 구조와 조직) 와 상호작용 디자인(제품의 상호작용 경험) 이 포함된다.
뼈대(Skeleton)
정보는 어떻게 보여지고 정리되나? 이 계층에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인터페이스 요소의 디자인), 네비게이션 디자인 ( 사용자가 어떻게 시시스템에서 이동하는지), 그리고 정보 디자인 ( 이해를 돕기 위해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 을 고려하기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와이어프레임 세트가 만들어진다.
표면(Surface)
제품은 사용자에게 어떤 느낌과 모습을 전달하나? 이 단계에서는 시각적 디자인이 강조된다. 예를 들면 어떤 색상과 글꼴을 사용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고, UI 디자인이 중요한 역활을 한다. ( 하지만 이는 표면에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고보면 우리는 항상 유저, 또는 사용자라는 말을 즐겨쓰는데 대체 유저가 뭘까?
유저는 넓게 보면 제품을 사용해보거나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사람을 일컫는데, 예를 들면 IT 전문가, 컴퓨터 기술자, 시스템관리자 등등도 포함된다.
예전에는 컴퓨터 기술들을 잘 아는 사람들만 유저라고 불렸는데 GUI가 소개되고 많은 일반인들이 제품을 사용하기 시작하자 End-user이라는 말이 생겼다.
엔드유저? 그게뭐지?
기술적인 스킬이나 지식이 없는 일반적인 유저를 뜻한다.
예를들어 의사와 기술자가 힘을 합쳐서 의료어플을 하나 개발했다고 하자. 이 어플은 환자가 몸상태를 입력하면 의사가 그것을 모니터링해서 답변을 해준다. 그러면 여기서 엔드유저 (End-user)은 의료나 어플에대해 정말 기본적인 지식만을 아는 일반인 환자일 것이다. 제품을 개발할때에는 유저와 엔드유저 둘다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게 만들어야한다.
정말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