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 and UX Methodologies

김규림·2023년 7월 19일
0
post-thumbnail

UI, UX를 연구하다 보면 이런 단어들을 손쉽게 볼 수 가 있는데, 예를들면
Design thinking,
user-centered design,
double diaomond floating around
이런 것들이다. 이번 글에서는 이런것들을 알아보려고 한다.

KEY METHODOLOGIES OF UI AND UX DESIGN

The Double Diamond Model

더블 다이아몬드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프로세스 모델로, 교차 기능적이고 반족적인 디자인 또는 혁신 과정을 나타낸다. 서비스 디자인에서의 사고의 폭을 최대한 넓히고, 거기서 끌어낸 아이디어를 하나로 좁혀나가는 과정을 정리한 모델이기도 하다. 서비스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쓰이는 모델이 바로 이 더블 다이아몬드로 복잡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조화 하는 접근 방법이다.

이 모델은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면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하는 시점과 팀이 방향을 결정할 때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잘 만들어진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는 제품 요구 사항과 이에 이어지는 디자인 작업이 사용자의 요구에 집중되도록 한다.

더블 디자인에는 두가지 중요한 타입이 있다.

Divergent thinking(확장적 사고) : 최대한 많은 해결책을 탐색하는 것
Convergent thinking(수렴적 사고):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걸러내며, 초점을 맞추는 것.

또한 더블 디자인 모델에는 4가지 단계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1. Discover(divergent strategy): 문제와 현황을 탐색하고 사용자 인터뷰나 설문지, 또는 기타 연구를 통해 사용자와 시장으로부터 배운다.

2. Define (convergent strategy): 발견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류하고 분석해서 우리가 해결하려는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3. Develop (divergent execution): 브레인스토밍, 워크샵, 낮은 충실도 프로토타입 등 기타 개념화 방법을 통해 가능한 해결책의 아이디어 범위를 도출한다. 사용자나 회사 내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테스트하고 어떤것이 와 닿는지 확인한다.

4. Deliver (convergent execution): 솔루션에 초점을 맞추고, 개발해서 전달한다. 개발된 디자인을 계속해서 평가하고 테스트해서 사용자 요구에 충족하는지 확인한다.

The Product Development Life Cycle

오늘날의 UIUX 디자이너들은 그저 시각적 디자인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 관여하는 사람들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제품 개발 수명 주기는 디자인인 제품 개발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PDLC는 일반적으로 조직 전체의 많은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교차 기능의 반복 프로세스이다. 프로세스는 제품 개발이 실제 사용자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전체 팀이 동일한 목표를 중심으로 조정되도록 문제 또는 문제점에서 시작한다.

제품 개발 주기는 5단계로 구성된다.

Brainstorm : 정의된 문제에서 시작해서 팀은 가능한 모든 솔루션을 브레인스토밍한다. 시장 또는 사용자 조사가 아이디어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Define : 팀은 비전, 목표, 대상 사용자, 기능, 이점 및 성공 메트릭을 정의하여 제품 사양을 조정한다.
Design : 제품은 스케치와 와이어프레임으로 시작하여 프로토타입과 완성된 인터페이스로 이동하면서 저충실도에서 고충실도로 설계된다.
Test : 제품 또는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여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테스트는 저충실도 프로토타입의 비공식 내부 테스트에서 외부 사용자에 의한 고충실도 프로토타입 또는 최종 재품의 사용성 테스트까지 다양하다.
Launch: 최종 디자인이 대중에게 공개되지만 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고 테스트는 출시된 이후에도 계속되며 주기가 계속된다

Design Thinking

디자인 사고란, 인간을관찰하고 공감하여 소비자를 이해한 뒤, 다양한 대안을 찾는 확산적 사고와, 주어진 상황에 최선의 방법을 찾는 수렴적 사고의 방법을 통하여 혁신적 결과를 내는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이다.

디자인 사고의 핵심 활동은 영감, 아이디어 도출 및 구현이고, 이것은 프로세스의 5단계 전반에 걸쳐서 발생한다.

1. Empathize : 사용자와 현황을 이해하기
2. Define: 문제를 정의하고 비즈니스 목표와 사용자 요구사항을 조정한다.
3. Ideate : 가능한 해결책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며, 창의성을 강조한다.
4. Prototype : 제품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피드백을 수집하여 잠재적인 해결책을 탐색한다.
5. Test: 프로토타핑 과정에서 개발된 최상의 해결책을 테스트한다. 프로토타이핑 이나 테스팅은 문제자체를 재정의할수도 있다. 이는 우리가 다룬 다른 프로세스들과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주기이다.

User-Centered Design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제품개발에서 사용자를 중심에 두고, 처음부터 디자인에 참여시킨다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디자인은 사용자의 피드백을 개발 과정 및 출시 후에도 반역하는 반복적인 과정으로 생각된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사용환경, 기술, 감정 상태 등 사용 문맥과 비즈니스 목표에 모두 반응한다. 사용자 경험(UX)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적이며, 관련된 방법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범주에 속한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는 단계를 다르게 정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1. Understand: 사용자와 공감한다.
  2. Specify : 해결할 특정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3. Design :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고 개발한다.
  4. Evaluate : 제품이나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여 성공을 평가하고 피드백을 통합한다.

Defining "Good" UX

좋은 UX란 대략 아래의 사항들로 판단할 수 있다.

  1. 유저의 요구사항을 만족한다.
  2. 사용하거나 이해하기 쉽다.
  3.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간결하다.
  4. 이동하거나 정보를 찾기가 쉽다.
  5. 제품, 회사 그리고 서비스가 믿음직스럽다.
  6. 비즈니스적 가치에 부합한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