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학원에서 SQL의 DQL을 배웠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자. > [문법] SELECT 컬럼, 컬럼, ... FROM 테이블명;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 SELECT를 통해 얻은 결과를 RESULT SET라고 한다.

이어서 작성해보자. 함수칼럼값을 읽어서 계산 결과를 반환한다.단일행 함수 : N개의 값을 읽어서 N개의 결과를 리턴한다. (매 행 함수 실행 -> 결과 반환)그룹 함수 : N개의 값을 읽어서 1개의 결과를 리턴한다. (하나의 그룹별로 함수 실행 -> 결과 반환)
이번에는 배운 내용들을 활용하여 실습 문제를 풀어보자.춘 대학교 워크북 과제SQL01_SELECT(Basic)1번춘 기술대학교의 학과 이름과 계열을 표시하시오. 단, 출력 헤더는 "학과 명", "계열"으로 표시하도록 한다.SELECT DEPARTMENT_NAME, CA
JOIN을 활용하여 실습 문제를 풀어보자.\---------------- 실습 문제 ----------------DEPARTMENT 테이블과 LOCATION 테이블의 조인하여 부서 코드, 부서명, 지역 코드, 지역명을 조회SELECT D.DEPT_ID, D.DEPT_T
실습문제...춘 대학교 워크북 과제SQL02_SELECT(Function)1번영어영문학과(학과코드 002) 학생들의 학번과 이름, 입학 년도를 입학 년도가 빠른 순으로 표시하는 SQL문장을 작성하시오.(단, 헤더는 "학번", "이름", "입학년도" 가 표시되도록 한다.
춘 대학교 워크북 과제SQL03_SELECT(Option)1번학생이름과 주소지를 표시하시오. 단, 출력 헤더는 "학생 이름", "주소지"로 하고, 정렬은 이름으로 오름차순 표시하도록 한다.SELECT STUDENT_NAME, STUDENT_ADDRESSFROM TB_S

DDL(Data Definition Language)데이터 정의 언어로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객체를 만들고(CREATE), 변경하고(ALTER), 삭제하는(DROP) 등 실제 데이터 값이 아닌 데이터의 구조 자체를 정의하는 언어로 DB 관리자, 설계자가 주로 사용한다.\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데이터 조작 언어로 테이블에 값을 삽입(INSERT)하거나, 수정(UPDATE), 삭제(DELETE)하는 구문이다.INSERT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하는 구문이다.문법1)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
간단한 예시 문제를 풀어보자문제 1: Employees 테이블 생성다음 요구 사항에 맞는 테이블을 생성하세요:테이블 이름: Employees컬럼:EmployeeID (숫자 형식, 주키)FirstName (문자열 형식)LastName (문자열 형식)DepartmentID
이어서 간단한 예시문제를 풀어보자BOARD 테이블 생성 (제목, 내용, 작성일시)DROP TABLE BOARD CASCADE CONSTRAINTS;CREATE TABLE BOARD( TITLE VARCHAR2(100) NOT NULL
간단한 DML문제를 풀어보자INSERT 예제 문제:주어진 Employees 테이블에 새로운 직원 정보를 추가합니다.Employees 테이블에는 다음과 같은 컬럼이 있습니다: EmployeeID, FirstName, LastName, DepartmentID, HireDa
DDL(Data Definition Language)데이터 정의 언어로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객체를 만들고(CREATE), 변경하고(ALTER), 삭제하는(DROP) 등실제 데이터 값이 아닌 데이터의 구조 자체를 정의하는 언어로 DB 관리자, 설계자가 주로 사용한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트랜잭션을 제어하는 언어이다.\* 트랜잭션 \-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트랜잭션이라고 한다. ATM에서 현금 출금 1\. 카드 삽입

SEQUENCE정수값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객체이다.SEQUENCE 생성문법CREATE SEQUNCE 시퀀스명START WITH 숫자MAXVALUE 숫자CYCLE | NOCYCLE; (기본값 20 바이트)사용 구문시퀀스명.CURRVAL : 현재 시퀀스의 값
오늘 Java에서 JDBC를 사용하여 Oracle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해서 그동안 오라클에서 배웠던 INSERT, DELETE, UPDATE 등의 DML을 사용하여 여러가지를 해보았다. 처음 접해서 신기하고 재밌었다. 정리해보자.
어제는 자바와 오라클을 연결해서, DML을 자바에서 사용했었는데, 오늘은 나아가서 자바에서 DQL을 사용해 콘솔창에 값을 조회하는 방법을 배웠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JDBC 드라이버 로딩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준비데이터베이스 연결 == 커넥션 객체 얻기SQL 준비SQ
PreparedStatement유저입력받기SQL 준비SQL 실행을 위한 statement 준비statement 에 SQL 담아주고 실행 및 결과 리턴받기결과 출력기존의 DML을 자바에서 사용했던 코드와 같지만 몇 가지 다른 점이 있다.'PreparedStatement'

VIEWSELECT 문을 저장할 수 있는 객체이다.(논리적인 가상 테이블)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으며 테이블에 대한 SQL만 저장되어 있어 VIEW 접근할 때 SQL을 수행하면서 결과값을 가져온다.문법CREATE OR REPLACE VIEW 뷰명AS 서브 쿼리;Ex)

PL/SQL오라클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절차적 언어로 SQL 문장 내에서 변수의 정의, 조건 처리(IF), 반복 처리(LOOP, FOR, WHILE) 등을 지원한다.(다수의 SQL 문을 한 번에 실행이 가능하다.)PL/SQL의 구조1) 선언부(DECLAER SECTIO

TRIGGER테이블이 INSERT, UPDATE, DELETE 등 DML 구문에 의해서 변경될 경우자동으로 실행될 내용을 정의해놓는 객체이다.트리거의 종류1) SQL 문의 실행 시기에 따른 분류BEFORE TRIGGER : 해당 SQL 문장 실행 전에 트리거를 실행한
오라클(Oracle)과 MySQL은 둘 다 대표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지만, 목적, 기능, 라이선스, 사용 사례에서 차이점이 있음.오라클(Oracle):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상용 데이터베이스임.

구글에 mysql download for windows 64 bit 검색2\. 다운로드3\. 설치4\. 비밀번호 설정 5\. 비밀번호 입력 6\. 비밀번호 입력 7\. 실행
MS SQL Server는 Microsoft가 개발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으로, 다양한 기능과 높은 호환성 덕분에 대규모 기업 환경에서 널리 사용된다. 주요 특징과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특징데이터 무결성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상 데이터의
NoSQL과 R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데이터 구조, 저장 방식, 확장성 및 사용 사례에서 차이를 가진다.데이터를 테이블(행/열) 형태로 저장한다.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스키마를 정의해야한다.데이터 간 관계를 정규화로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