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필기용입니다.
TCP
- 연결형 서비스(=전화. 양방향 통신?)
1. 연결을 위한 할당되는 논리적인 경로가 있다.
2. 전송 순서가 보장된다.
- 신뢰성 ↑ 속도 ↓
1.분실이 일어나면 책임지고 다시 전송한다.
2.물건을 주고 받을 상황이 아니면 일부만 보낸다.
3.위 처럼, 고려할 사항이 많기 때문에 Udp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 데이터의 경계
경계 없음(ex: 'Hello', 'World'
라는 버퍼를 보냈을 때, 순서는 보장되지만 'HelloW', 'orld'
이런식으로 받을 수 있음)
UDP
- 비연결형 서비스(=이메일. 단방향 통신?)
1. 연결이라는 개념이 없음.
2. 전송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다.
3. 경계의 개념이 있다.
- 신뢰성 ↓ 속도 ↑
1. 분실에 대한 책임이 없다.
2. 일단 보내고 본다.
3. 단순하기 때문에 속도가 Tcp에 비해 빠르다.
- 데이터의 경계
경계 있음(ex: 'Hello', 'World'
라는 버퍼를 보냈을 때, 'Hello', 'World'
이런식으로 데이터의 경계가 분명하도록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순서는 보장되지 않아 'World', 'Hello'
처럼 받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