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i, j;
int grade[10];
int temp = 0;
for (i = 0; i < 10; i++)
{
printf("학생 %d 성적 : ", i + 1);
scanf_s("%d", &grade[i]);
}
for (i = 0; i < 10; i++)
{
for (j = 0; j < 10; j++)
{
if (grade[i] > grade[j])
{
temp = grade[i];
grade[i] = grade[j];
grade[j] = temp;
}
}
}
for (i = 0; i < 10; i++)
{
printf("%d 등 점수 : %d \n", i+1, grade[i]);
}
return 0;
}
단순히 학생들의 점수를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는게 아닌, 몇 번째 학생이 몇등인지 까지 정렬 하고 싶었지만 어려워서 못했다
강해져서 돌아와보자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i, j;
int grade[10];
for (i = 0; i < 10; i++)
{
printf("학생 %d 성적 : ", i + 1);
scanf_s("%d", &grade[i]);
}
for (i = 0; i < 10; i++)
{
printf("\n학생 %d ", i + 1);
for (j = 0; j < grade[i]; j++)
{
printf("*");
}
}
printf("\n\n");
return 0;
}
배열이 마치 아파트 같기 때문이다
'호'의 개념은 각 배열 속의 원소를 뜻하고,
'층'의 개념은 그 원소들을 가진 배열이고,
'동'의 개념은 그 원소들을 가진 배열의 배열이다
따라서 이는 3차원 배열을 형상화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