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내용은 '모던 Javascript Deep Dive'(이웅모 님) 책의 내용을 제 생각과 함께 정리한 글입니다.
틀린 내용 혹은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0장 '객체 리터럴'에서 객체 리터럴에 의한 객체 생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객체 리터럴에 의한 객체 생성 방식은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객체 생성 방식이다.
이번에는 다양한 객체 생성 방식 중 생성자 함수에 의한 방식과, 그에 따른 장단점을 살펴본다.
1. 표준 빌트인 객체
2. 호스트 객체
호스트 객체는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JS 실행 환경 (브라우저 환경 또는 Node.js 환경)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객체를 말한다.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DOM, BOM, Canvas, XMLHttpRequest, fetch 등과 같은 WEB API를 호스트 객체로 제공하고, Node.js 환경에서는 Node.js 고유의 API를 호스트 객체로 제공한다.
3. 사용자 정의 객체
JS는 Object, String, Number, Math
등 40여개의 표준 빌트인 객체를 제공한다.
Math, Reflect, JSON
을 제외한 표준 빌트인 객체는 모두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 객체다.
생성자 함수 객체인 표준 빌트인 객체는 프로토타입 메서드와 정적 메서드를 제공하고, 생성자 함수가 아닌 표준 빌트인 객체는 정적 메서드만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준 빌트인 객체인 String, Number, Array, Date
는 생성자 함수로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 String 생성자 함수에 의한 String 객체 생성
const strObj = new String('Lee'); // String {"Lee"}
console.log(typeof strObj); // object
// Number 생성자 함수에 의한 Number 객체 생성
const numObj = new Number(123); // Number {123}
console.log(typeof numObj); // object
// Boolean 생성자 함수에 의한 Boolean 객체 생성
const boolObj= new Boolean(true); // Boolean {true}
console.log(typeof boolObj); // object
// Function 생성자 함수에 의한 Function 객체(함수) 생성
const func = new Function('x', 'return x * x'); // ƒ anonymous(x )
console.log(typeof func); // function
// Array 생성자 함수에 의한 Array 객체(배열) 생성
const arr = new Array(1, 2, 3); // (3) [1, 2, 3]
console.log(typeof arr); // object
// RegExp 생성자 함수에 의한 RegExp 객체(정규 표현식) 생성
const regExp = new RegExp(/ab+c/i); // /ab+c/i
console.log(typeof regExp); // object
// Date 생성자 함수에 의한 Date 객체 생성
const date = new Date(); // Fri May 08 2020 10:43:25 GMT+0900 (대한민국 표준시)
console.log(typeof date); // object
String
을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하여 생성한 String
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은 String.prototype
이다.// String 생성자 함수에 의한 String 객체 생성
const strObj = new String('Lee'); // String {"Lee"}
// String 생성자 함수를 통해 생성한 strObj 객체의 프로토타입은 String.prototype이다.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strObj) === String.prototype); // true
String
인스턴스가 상속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표준 빌트인 객체인 String
은 인스턴스 없이 정적으로 호출할 수 있는 정적 메서드를 제공한다.문자열이나 숫자, 불리언 등의 원시값이 있는데도 문자열, 숫자, 불리언 객체를 생성하는
String, Number, Boolean
등의 표준 빌트인 생성자 함수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const str = 'hello';
// 원시 타입인 문자열이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갖고 있는 객체처럼 동작한다.
console.log(str.length); // 5
console.log(str.toUpperCase()); // HELLO
원시값인 문자열, 숫자, 불리언 값의 경우 이들 원시값에 대해 마치 객체처럼 마침표 표기법(또는 대괄호 표기법)으로 접근하면 JS 엔진이 일시적으로 원시값을 연관된 객체로 변환해 주기 때문이다.
즉, 원시값을 객체로 사용하면 JS 엔진은 암묵적으로 연관된 객체를 생성하여 생성된 객체로 프로퍼티에 접근하거나 메서드를 호출하고 다시 원시값으로 되돌린다.
이처럼 문자, 숫자, 불리언 값에 대해 객체처럼 접근하면 생성되는 임시 객체를 래퍼 객체(Wrapper Object)라고 한다.
const str = 'hi';
// 원시 타입인 문자열이 래퍼 객체인 String 인스턴스로 변환된다.
console.log(str.length); // 2
console.log(str.toUpperCase()); // HI
// 래퍼 객체로 프로퍼티에 접근하거나 메서드를 호출한 후, 다시 원시값으로 되돌린다.
console.log(typeof str); // string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값으로 원래의 상태, 즉 식별자가 원시값을 갖도록 되돌리고 래퍼 객체는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된다.// ① 식별자 str은 문자열을 값으로 가지고 있다.
const str = 'hello';
// ② 식별자 str은 암묵적으로 생성된 래퍼 객체를 가리킨다.
// 식별자 str의 값 'hello'는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다.
// 래퍼 객체에 name 프로퍼티가 동적 추가된다.
str.name = 'Lee';
// ③ 식별자 str은 다시 원래의 문자열, 즉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값을 갖는다.
// 이때 ②에서 생성된 래퍼 객체는 아무도 참조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된다.
// ④ 식별자 str은 새롭게 암묵적으로 생성된(②에서 생성된 래퍼 객체와는 다른) 래퍼 객체를 가리킨다.
// 새롭게 생성된 래퍼 객체에는 name 프로퍼티가 존재하지 않는다.
console.log(str.name); // undefined
// ⑤ 식별자 str은 다시 원래의 문자열, 즉 래퍼 객체의 [[StringData]] 내부 슬롯에 할당된 원시값을 갖는다.
// 이때 ④에서 생성된 래퍼 객체는 아무도 참조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된다.
console.log(typeof str, str);
Number
객체는 당연히 Number.prototype
의 메소드를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다.const num = 1.5;
// 원시 타입인 숫자가 래퍼 객체인 Number 객체로 변환된다.
console.log(num.toFixed()); // 2
// 래퍼 객체로 프로퍼티에 접근하거나 메서드를 호출한 후, 다시 원시값으로 되돌린다.
console.log(typeof num, num); // number 1.5
이처럼 문자열, 숫자, 불리언, 심벌은 암묵적으로 생성되는 래퍼 객체에 의해 마치 객체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준 빌트인 객체인
String, Number, Boolean, Symbol
의 프로토타입 메서드 또는 프로퍼티를 참조할 수 있다.
null
과 undefined
는 래퍼 객체를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null
과 undefined
값을 객체처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한다.전역 객체의 정의는 이 전에도 자주 설명했으니 따로 언급하지는 않겠다.
아래 코드는 전역 객체의 예시다.
// 브라우저 환경
globalThis === this // true
globalThis === window // true
globalThis === self // true
globalThis === frames // true
// Node.js 환경(12.0.0 이상)
globalThis === this // true
globalThis === global // true
전역 객체는 표준 빌트인 객체(Object, String, Number, Function, Array
등)오 환경에 따른 호스트 객체(클라이언트 Web API 또는 Node.js의 호스트 API), 그리고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함수를 프로퍼티로 갖는다.
전역 객체는 계층적 구조상 어떤 객체에도 속하지 않는 모든 빌트인 객체의 최상위 객체다.
그러나 전역객체가 최상위 객체라는 것은 프로토타입 상속 관계상에서 최상위 객체라는 의미는 아니다.
전역 객체는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생성할 수 없다. 즉, 전역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자 함수가 제공되지 않는다.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window
(또는 global
)를 생략할 수 있다.
// 문자열 'F'를 16진수로 해석하여 10진수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window.parseInt('F', 16); // -> 15
// window.parseInt는 parseInt로 호출할 수 있다.
parseInt('F', 16); // -> 15
window.parseInt === parseInt; // -> true
let foo = 123;
console.log(window.foo); // undefined
let
이나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니다.(var
과는 달리)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보이지 않는 개념적인 블록(전역 렉시컬 환경의 선언적 환경 레코드) 내에 존재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브라우저 환경의 모든 JS 코드는 하나의 전역 객체 window
를 공유한다.
여러 개의 script
태그를 통해 JS 코드를 분리해도 하나의 전역 객체 window
를 공유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
이는 분리되어 있는 JS 코드가 하나의 전역을 공유한다는 의미다.
Infinity
프로퍼티는 무한대를 나타내는 숫자값 Infinity
를 갖는다.// 전역 프로퍼티는 window를 생략하고 참조할 수 있다.
console.log(window.Infinity === Infinity); // true
// 양의 무한대
console.log(3/0); // Infinity
// 음의 무한대
console.log(-3/0); // -Infinity
// Infinity는 숫자값이다.
console.log(typeof Infinity); // number
NaN
프로퍼티는 숫자가 아님(Not-a-Number)을 나타내는 숫자값 NaN
을 갖는다. NaN
프로퍼티는 Number.NaN
프로퍼티와 같다.console.log(window.NaN); // NaN
console.log(Number('xyz')); // NaN
console.log(1 * 'string'); // NaN
console.log(typeof NaN); // number
undefined
프로퍼티는 원시 타입 undefined
를 값으로 가진다.console.log(window.undefined); // undefined
var foo;
console.log(foo); // undefined
console.log(typeof undefined); // undefined
eval
함수는 JS 코드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인수로 전달받는다.
전달받은 문자열 코드가 표현식이라면 eval
함수는 문자열 코드를 런타임에 평가하여 값을 생성하고, 전달받은 인수가 표현식이 아닌 문이라면 eval
함수는 문자열 코드를 런타임에 실행한다.
// 표현식인 문
eval('1 + 2;'); // -> 3
// 표현식이 아닌 문
eval('var x = 5;'); // -> undefined
// eval 함수에 의해 런타임에 변수 선언문이 실행되어 x 변수가 선언되었다.
console.log(x); // 5
// 객체 리터럴은 반드시 괄호로 둘러싼다.
const o = eval('({ a: 1 })');
console.log(o); // {a: 1}
// 함수 리터럴은 반드시 괄호로 둘러싼다.
const f = eval('(function() { return 1; })');
console.log(f()); // 1
console.log(eval('1 + 2; 3 + 4;')); // 7
eval
함수는 자신이 호출된 위치에 해당하는 기존의 스코프를 런타임에 동적으로 수정한다. 다음 예제를 보자.const x = 1;
function foo() {
// eval 함수는 런타임에 foo 함수의 스코프를 동적으로 수정한다.
eval('var x = 2;');
console.log(x); // 2
}
foo();
console.log(x); // 1
eval
함수는 기존의 스코프를 수정하지 않고 eval
함수 자신의 자체적인 스코프를 생성한다.const x = 1;
function foo() {
'use strict';
// strict mode에서 eval 함수는 기존의 스코프를 수정하지 않고 eval 함수 자신의 자체적인 스코프를 생성한다.
eval('var x = 2; console.log(x);'); // 2
console.log(x); // 1
}
foo();
console.log(x); // 1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한 변수 선언문이라면 암묵적으로 strict mode가 적용된다.const x = 1;
function foo() {
eval('var x = 2; console.log(x);'); // 2
//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한 변수 선언문은 strict mode가 적용된다.
eval('const x = 3; console.log(x);'); // 3
console.log(x); // 2
}
foo();
console.log(x); // 1
eval
함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콘텐츠를 실행하는 것은 보안에 매우 취약하다.
또한 eval
함수를 통해 실행되는 코드는 JS엔진에 의해 최적화가 수행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코드 실행에 비해 처리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eval
함수의 사용은 금지해야 한다.
isFinite
전달받은 인수가 정상적인 유한수인지 검사하여 유한수이면 true
를 반환하고, 무한수이면 false
를 반환한다.
전달받은 인수의 타입이 숫자가 아닌 경우, 숫자로 타입을 변환한 후 검사를 수행한다. 이 때, 인수가 NaN
으로 평가되는 값이라면 false
를 반환한다.
// 인수가 유한수이면 true를 반환한다.
isFinite(0); // -> true
isFinite(2e64); // -> true
isFinite('10'); // -> true: '10' → 10
isFinite(null); // -> true: null → 0
// 인수가 무한수 또는 NaN으로 평가되는 값이라면 false를 반환한다.
isFinite(Infinity); // -> false
isFinite(-Infinity); // -> false
// 인수가 NaN으로 평가되는 값이라면 false를 반환한다.
isFinite(NaN); // -> false
isFinite('Hello'); // -> false
isFinite('2005/12/12'); // -> false
isFinite(Null
은 true
를 반환한다. 이것은 null
을 숫자로 변환하여 검사를 수행했기 때문이다. null
을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면 0이 된다.console.log(+null); // 0
isNan
전달받은 인수가 Nan
인지 검사하여 그 결과를 불리언 타입으로 반환한다.
전달받은 인수의 타입이 숫자가 아닌 경우 숫자로 타입을 변환한 후 검사를 수행한다.
// 숫자
isNaN(NaN); // -> true
isNaN(10); // -> false
// 문자열
isNaN('blabla'); // -> true: 'blabla' => NaN
isNaN('10'); // -> false: '10' => 10
isNaN('10.12'); // -> false: '10.12' => 10.12
isNaN(''); // -> false: '' => 0
isNaN(' '); // -> false: ' ' => 0
// 불리언
isNaN(true); // -> false: true → 1
isNaN(null); // -> false: null → 0
// undefined
isNaN(undefined); // -> true: undefined => NaN
// 객체
isNaN({}); // -> true: {} => NaN
// date
// date 객체는 isNaN 함수에서 Number로 변환되는건가?
isNaN(new Date()); // -> false: new Date() => Number
isNaN(new Date().toString()); // -> true: String => NaN
parseFloat
// 문자열을 실수로 해석하여 반환한다.
parseFloat('3.14'); // -> 3.14
parseFloat('10.00'); // -> 10
// **공백으로 구분된 문자열은 !!첫 번째 문자열만 변환한다!!
parseFloat('34 45 66'); // -> 34
parseFloat('40 years'); // -> 40
// **첫 번째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수 없다면 NaN을 반환한다.
parseFloat('He was 40'); // -> NaN
// **앞뒤 공백은 무시된다.
parseFloat(' 60 '); // -> 60
parseInt
// 문자열을 정수로 해석하여 반환한다.
parseInt('10'); // -> 10
parseInt('10.123'); // -> 10
전달 받은 인수가 문자열이 아니면 문자열로 변환한 다음, 정수로 해석하여 반환한다.
인수로 진법을 나타내는 기수(2~36)를 전달할 수 있다.
기수를 지정하면 첫 번째 인수로 전달된 문자열을 해당 기수의 숫자로 해석하여 반환한다. 이 때 반환값은 언제나 10진수다.
// 10'을 10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한다
parseInt('10'); // -> 10
// '10'을 2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한다
parseInt('10', 2); // -> 2
// '10'을 8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한다
parseInt('10', 8); // -> 8
// '10'을 16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한다
parseInt('10', 16); // -> 16
Number.prototype.toString
메서드를 사용한다.const x = 15;
// 10진수 15를 2진수로 변환하여 그 결과를 문자열로 반환한다.
x.toString(2); // -> '1111'
// 문자열 '1111'을 2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한다
parseInt(x.toString(2), 2); // -> 15
// 10진수 15를 8진수로 변환하여 그 결과를 문자열로 반환한다.
x.toString(8); // -> '17'
// 문자열 '17'을 8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한다
parseInt(x.toString(8), 8); // -> 15
// 10진수 15를 16진수로 변환하여 그 결과를 문자열로 반환한다.
x.toString(16); // -> 'f'
// 문자열 'f'를 16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한다
parseInt(x.toString(8), 8); // -> 15
// 숫자값을 문자열로 변환한다.
x.toString(); // -> '15'
// 문자열 '15'를 10진수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진수 정수로 반환한다
parseInt(x.toString()); // -> 15
// 16진수 리터럴 '0xf'를 16진수로 해석하고 10진수 정수로 그 결과를 반환한다.
parseInt('0xf'); // -> 15
// 위 코드와 같다.
parseInt('f', 16); // -> 15
// 2진수 리터럴(0b로 시작)은 제대로 해석하지 못한다. 0 이후가 무시된다.
parseInt('0b10'); // -> 0
// 8진수 리터럴(ES6에서 도입. 0o로 시작)은 제대로 해석하지 못한다. 0 이후가 무시된다.
parseInt('0o10'); // -> 0
ES5 이전까지는 비록 사용을 금지하고는 있었지만 "0"으로 시작하는 숫자로 8진수로 해석했다.
ES6부터는 "0"으로 시작하는 숫자로 8진수로 해석하지 않고 10진수로 해석한다.
따라서 문자열을 8진수로 해석하려면 지수를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
NaN
을 반환한다.// 'A'는 10진수로 해석할 수 없다.
parseInt('A0'); // -> NaN
// '2'는 2진수로 해석할 수 없다.
parseInt('20', 2); // -> NaN
// 10진수로 해석할 수 없는 'A' 이후의 문자는 모두 무시된다.
parseInt('1A0'); // -> 1
// 2진수로 해석할 수 없는 '2' 이후의 문자는 모두 무시된다.
parseInt('102', 2); // -> 2
// 8진수로 해석할 수 없는 '8' 이후의 문자는 모두 무시된다.
parseInt('58', 8); // -> 5
// 16진수로 해석할 수 없는 'G' 이후의 문자는 모두 무시된다.
parseInt('FG', 16); // -> 15
첫 번째 인수로 전달한 문자열에 공백이 있다면 첫 번째 문자열만 해석하여 반환하며 앞 뒤 공백은 무시된다.
만일 첫 번째 문자열을 숫자로 해석할 수 없는 경우 NaN
을 반환한다.
// 공백으로 구분된 문자열은 첫 번째 문자열만 변환한다.
parseInt('34 45 66'); // -> 34
parseInt('40 years'); // -> 40
// 첫 번째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수 없다면 NaN을 반환한다.
parseInt('He was 40'); // -> NaN
// 앞뒤 공백은 무시된다.
parseInt(' 60 '); // -> 60
encodeURI
함수는 완전한 URI(Uniform Resrouce Identifier)를 문자열로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를 위해 인코딩한다.
URI은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를 말한다. URI의 하위 개념으로 URL, URN이 있다.
인코딩이란 URI의 문자들을 이스케이프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스케이프 처리는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할 때 어떤 시스템에서도 읽을 수 있는 아스키 문자 셋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UTF-8 특수 문자의 경우 1문자당 1~3 바이트 UTF-8 한글 표현의 경우 1문자당 3바이트다
// 완전한 URI
const uri = 'http://example.com?name=이웅모&job=programmer&teacher';
// encodeURI 함수는 완전한 URI를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를 위해 인코딩한다.
const enc = encodeURI(uri);
console.log(enc);
// http://example.com?name=%EC%9D%B4%EC%9B%85%EB%AA%A8&job=programmer&teacher
decodeURI
함수는 인코딩된 URI를 인수로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 이전으로 디코딩한다.const uri = 'http://example.com?name=이웅모&job=programmer&teacher';
// encodeURI 함수는 완전한 URI를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를 위해 인코딩한다.
const enc = encodeURI(uri);
console.log(enc);
// http://example.com?name=%EC%9D%B4%EC%9B%85%EB%AA%A8&job=programmer&teacher
// decodeURI 함수는 인코딩된 완전한 URI를 전달받아 이스케이프 처리 이전으로 디코딩한다.
const dec = decodeURI(enc);
console.log(dec);
// http://example.com?name=이웅모&job=programmer&teacher
var x = 10; // 전역 변수
function foo () {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에 값을 할당
y = 20; // window.y = 20;
}
foo();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 y를 전역에서 참조할 수 있다.
console.log(x + y); // 30
y
는 변수 선언 없이 단지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 추가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마치 전역 변수처럼 작동한다고 할지라도,y
는 결국 변수가 아니다.
따라서y
는 변수가 아니므로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
// 전역 변수 x는 호이스팅이 발생한다.
console.log(x); // undefined
// 전역 변수가 아니라 단지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인 y는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
console.log(y); // ReferenceError: y is not defined
var x = 10; // 전역 변수
function foo () {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에 값을 할당
y = 20; // window.y = 20;
}
foo();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 y를 전역에서 참조할 수 있다.
console.log(x + y); // 30
또한 변수가 아니라 단지 프로퍼티인 y
는 delete
연산자로 삭제할 수 있다.
전역 변수는 프로퍼티이지만 delete
연산자로 삭제할 수 없다.
var x = 10; // 전역 변수
function foo () {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에 값을 할당
y = 20; // window.y = 20;
console.log(x + y);
}
foo(); // 30
console.log(window.x); // 10
console.log(window.y); // 20
delete x; // 전역 변수는 삭제되지 않는다.
delete y; // 프로퍼티는 삭제된다.
console.log(window.x); // 10
console.log(window.y); // undef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