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 단편적으로 듣다보니 한번 복습겸, 다시 정리하는것.
1. 자바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됨
- 자바스크립트코어
- 클라이언트측 자바스크립트
- 서버측 자바스크립트
- 작성은 CSS처럼 문서자체에 직접 기입하거나 따로 파일을 만들어서 연동
1-1. 변수
var
로 하나의 박스를 생성, 이것을 변수선언 이라한다.
- 생성된 박스에 데이터를 할당하는것을 변수초기화 라한다.
- 변수 선언후 초기화를 진행하지 않으면 default값으로
undefined가 자동으로 들어가있다.
- 변수 이름을 작성할땐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 캐멀케이스 ( ex> var mathScoreStudent )
- 스네이크케이스 ( ex> var math_score_student)
- 주의점
-
은 사용불가
- 첫글자로
_
,$
사용가능
- 변수이름안에 숫자가 들어갈순있지만 가장처음으로숫자가 작성되선 안된다.
2. 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타입
- 데이터 타입은 크게 원시타입과 참조타입으로 분류
2-1. 원시타입
- 문자열(String)
- 숫자(Number)
- 논리(Boolean)
- undefined
- null
2-2. 참조타입
- 배열(Array)
- 함수(Function)
- 객체(Object)
3. 원시타입
3-1. 문자열(String)
- 선언후 초기화를 할때
""
,''
로 데이터를 초기화한다.
she's
,he's
같은 영어의 줄임말을 표현할땐
""
일땐 그냥 작성
''
일땐 저부분에 \'
를 넣어준다.
html
과 다르게 문자열안에서의 공백을 전부 인식한다.
3-2. 숫자(Number)
3-3. 사칙연산과 연산자
3-3-1. 사칙연산
+
,-
,*
,/
,%
등 사용가능
- 숫자를 사용할땐 언제든가능.
- 문자열에서의 사칙연산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나
+
는 그저 문자열이 연속적으로 출력될뿐이다.
- 다른예로 숫자+문자열 or 문자열+숫자의 경우에도 문자열로 나열되서 출력된다.
3-3-2. 연산자
++
,--
- 1씩 증가하거나 1씩 감소한다.
- 작성하는 위치도 중요
+=
,-=
,*=
,/=
,%=
- 뒤에 나오는값을 연산한뒤에 다시 초기화하는 연산자들
<
,>
,==
,===
,!=
,!==
,<=
,>=
- 두개의 값을 비교할때 사용
- 결과는 Boolean값이
true
,false
로 나옴
- AND
&&
,OR||
- 논리 연산자로 조건 두개를놔두고
true
,false
를 따지는 느낌
3-4. Boolean(불리언)
3-5. null과 undefined
3-5-1. null
- 변수 선언후 null이란 데이터를 직접 초기화한것.
typeof
로 확인시에는 결과가 object로 나오는데 그냥 버그신경쓰지말자.
- 숫자와의 사칙연산에선 자동으로 값이
0
으로 인식되서 연산뒤에 출력됨.
3-5-2. undefined
- 변수 선언만 하고 가만히 두면 default값으로 알아서 undefined가 들어가있는것.
- null과 다르게 숫자와 사칙연산을 하면 NaN(Not A Number)인 값이 나온다.
3-6. 부정문
어려웠던점.
- 이렇게 다시 정리하고 들었던 부분을 전부 정리한거도아닌데, 먼가 복잡하고 어려운느낌..
- 맨처음 들을땐 가장 처음 들었던 기초적인 파이썬과 비슷하고 그래서 약간 친숙했는데 그건또 아닌느낌이고, 이걸 어떻게 활용하는지 당장에 몰라서 그런느낌이 드는건가 싶기도하고.
- 어렵다.
해결
- 법이 있을리가 없을듯, 그냥 계속 찾아보고 강의듣고 써봐야할듯
후기.
- 이제 슬슬 각각 html ,css , 자바가 머릿속에 카오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