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903

JunYeupKwon·2021년 9월 3일
0

대구ai스쿨

목록 보기
48/48

강의

수업

1. 자바스크립트

1. 참조 타입

1-1. 함수(function)

  • 함수 선언

function sum() {
console.log(10+10)
}

  • function으로 시작
  • sum() 이부분은 함수의 이름을 설정
  • {} 안에 출력되어야할 정보를 넣음

-함수호출

sum()

  • 이름을 해서 불러오면 위에서 선언한것을 불러와서 출력함

1-2. Parameter(매개변수) , Argument(인수)

  • 1번예시 숫자

function sum(num1,num2) {
console.log(num1+num2);
}

  • function으로 이름지정

sum(10,20);
sum(100,50);

  • 값을 대입하면

30
150

  • 여기서 num1,num2가 매개변수에 해당하며,

  • 아래 sum()괄호안에 부분이 인수(호출시 전달되는값)

  • 2번예시 이름

function fullName(firstName,lastName) {
console.log(firstName +" "+lastName)
}
fullName("JunYeup","Kwon")

  • 이렇게 될시 알아서 이름을 합쳐가지고 JunYeup Kwon이 결과로 나온다.

  • 매개변수가 2개일때 인수가 1개면 어떻게될까

function area(width,height) {
var result=width*height;
console.log(result);
}
area(10)

  • 매개변수는 width,height

  • 인수로 area(10), 10의 값만 넣으면

  • 변수 선언과 같은 맥락

  • 매개변수를 만들고 값을 안넣었으니 자동으로 default값인 undefined가 기본으로 들어가있다.

  • 따라서 결과는 NaN이 출력

function area(width,height) {
console.log(width)
console.log(height)
}
area(10)

  • 의 결과를 보면 각각 10과 undefined가 출력되는걸 볼수있다.

1-3. 매개변수에는 모든 데이터타입을 다 넣을수있다.

function test(a) {
console.log(a)
}

  • 인수

test(10)
test("Hello")
test(true)
test(null)
test(function a(){})
test([10,20,30])
test({name:"JunYeup"})

1-4. return

  • 함수가 호출됬을때 호출된 시점에 내부적으로 어떠한 값을 가지고 있는 상태

어려웠던점

  • return은 벌써 3번째듣고있는데도 이해가 안됨.

후기

  • return,return,return,return,return,return,return,return,return,return,return,return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