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딕셔너리 조회
- 딕셔너리란, enumerate 함수로 인덱스값 : 아이템값 이 조회되었던것 처럼, 정의부터 'key값' : 'value값'으로 선언되며, '[ ]'이던 리스트와 달리 '{ }'괄호를 사용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234a080f-7fed-41ed-bc80-791302ed7611/image.png)
- key 값을 이용하여, value 값을 조회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f328e236-06f0-4791-80fe-7457b291ed5e/image.png)
- 딕셔너리의 key 와 value 값에 컨테이너형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으며, 딕셔너리명[key값] 으로 value 값에 접근할 수 있다. 존재하지 않는 key값을 치면 에러가 발생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edba30ea-3310-4f9a-835f-44617851373a/image.png)
- 딕셔너리명.get('key값') 으로 value 값을 조회 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는 key값을 넣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none이라고 나온다.
2. 딕셔너리 추가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85af34c9-812d-4b67-ac18-ad6db8863578/image.png)
- 빈 딕셔너리를 만들어서 값을 추가하는 예제. 딕셔너리명['키값'] = '밸류' 의 형태로 아이템들을 추가한다. 같은 키값이 이미 존재한다면 value를 바꿔준다.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b37e67c6-0224-49aa-b52a-71c240c5fac5/image.png)
- 1-10까지 반복하면서 각 값까지 곱해졌을때의 팩토리얼 계산 값을 딕셔너리로 표현한다. for 문은 i가 0 일때와 그 외의 경우로 두 번 써야하며 j 가 있는 for 문에서는 값이 계속 갱신되며 마지막 값이 저장된다.
- 이미 있는 key값에 변경된 value 값을 넣어 추가하면 그게 수정이 된다.
3. keys() values()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82a51b72-d115-4754-914b-0827ae0be317/image.png)
- keys() 는 딕셔너리의 모든 key값 조회, values()는 모든 value 값 조회, items() 는 전체 아이템을 조회하는 함수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6504d192-4c7e-4058-9460-b77d4d13fcf9/image.png)
-for 문을 이용해 key 값과 그에 해당하는 value를 출력
4. 딕셔너리 삭제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de4e0452-9db4-4466-8782-f5727c36e923/image.png)
- del 과, pop() 을 이용해 item을 삭제한다. pop(key값) 을 하면 key값에 해당하는 아이템이 삭제되고, 그때 pop을 출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value 값이 출력된다.
(5) 딕셔너리의 기능
![](https://velog.velcdn.com/images/keoh9612/post/b1ee55de-8e36-4ebc-92ba-53dec7108530/image.png)
- key값으로 아이템의 유무를 판단할수 있다. 'key값' in 딕셔너리명 을 하면 true 또는 false 반환. not in 도 가능하다
len을 이용해 아이템 개수를 알수도 있고, clear()를 하면 모든 아이템 전체삭제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