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tml, css 코드로 컴포넌트 UI 구현 (css는 생략)
function Modal(){
return (
<div className="modal">
<h4>제목</h4>
<p>날짜</p>
<p>상세내용</p>
</div>
)
}
function App() {
//2. UI현태상태지정 : true:열림 false:닫힘
let [modal, setModal] = useState(false);
return (
//3. MODAL문자와, 상태에 따라 UI가 어떻게 보일지 조건문 작성
<h4 onClick={()=>{
if(modal == false){
setModal(true);
} else {
setModal(false);
}
}}>MODAL</h4>
// 중괄호{}안에 JS코드 입력가능
// React(HTML코드)에서는 if/else의 조건문은 불가능
// 👉🏻삼항연산자를 사용해야 함
//4. 삼항연산자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경
//조건식 ? 참일 때 실행할 코드 : 거짓일 때 실행할 코드
{
modal == true ? <Modal/> : null
}
)
현재 modal 변수의 상태를 false(닫힘) 으로 state에 저장해두고,
h4태그 안의 "MODAL" 클릭 시 setModal로 modal의 상태를 true/false로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Modal 컴포넌트를 여닫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