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값과 고유벡터에 대해 포스팅을 진행하려 합니다.
진행순서는 정의와 성질에 대해 설명과 응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Def>

위키백과를 통한 정의는 위와 같습니다.
우리가 알기쉽게 보면 K, V, T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
K = R, R is real number.
-
V = Rn i.e. For v∈V , v=⎣⎢⎢⎢⎢⎡v1v2⋮vn⎦⎥⎥⎥⎥⎤ with vi∈R
-
T : V → V , T=⎣⎢⎢⎡a11⋮an1⋯⋱⋯a1n⋮ann⎦⎥⎥⎤
i.e. T⋅v=⎣⎢⎢⎡a11⋮an1⋯⋱⋯a1n⋮ann⎦⎥⎥⎤⎣⎢⎢⎡v1⋮vn⎦⎥⎥⎤=⎣⎢⎢⎡v1a11+...+vna1n⋮v1an1+...+vnann⎦⎥⎥⎤=⎣⎢⎢⎡u1⋮un⎦⎥⎥⎤=u ⇒u ∈V
이렇게 K, V, T를 이야기 했습니다. 그러면 본격적으로 고유값과 고유벡터에 알아보겠습니다.
For T:V→V (T : Linear Transformation),
Let there existv(=0)∈V & λ∈K such thatT⋅v=λv.
이때 v를 T의 고유벡터(eigen vector)라 하고 λ를 T의 v에 대응하는 고유값(eigen value)라 합니다. 그럼 예제를 들어 확실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example>
LetT=[42−11], v=[12], λ=2
T⋅v=[42−11][12]=[4⋅1+(−1)⋅22⋅1+1⋅2]=[24]=2⋅[12]=λ⋅v
따라서 T⋅v=λ⋅v를 만족함으로 v를 T의 고유벡터라 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고유값은 λ이다.
중요한 것은 v를 T로 선형 변환을 시켰을 때 그 결과가 v가 λ만큼의 크기만 변한다는 사실이다.
그럼 과연 고유벡터인 v와 그에 대응하는 고유값인 λ는 오로지 한 개만 존재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지금 부터 Theorem과 Definition을 소개하며 그렇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hm>
Let A∈Rn×Rn : matrix & I : identity matrix (n x n).
λ is eigen value of A⇔∣A−λI∣=0
proof>
- ⇒
Suppose that λ is eigen value of A.
⇒ There exist v∈Rn with v=0 such that A⋅v=λ⋅v
⇒A⋅v=I⋅λ⋅v
⇒A⋅v−I⋅λ⋅v=0
⇒(A−I⋅λ)⋅v=0
⇒∣A−I⋅λ∣=0
- ⇐
Suppose that ∣A−I⋅λ∣=0
⇒ There exist v∈Rn such that (A−I⋅λ)⋅v=0
⇒A⋅v−I⋅λ⋅v=0
⇒A⋅v=I⋅λ⋅v
⇒A⋅v=λ⋅v
이로써 증명으로 ∣A−I⋅λ∣=0이라는 수식은 eigen value가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그렇기 이 수식 ∣A−I⋅λ∣=0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Def> characteristic polynomial
Let A∈Rn×Rn : matrix & I : identity matrix (n x n).
P(λ)=∣A−I⋅λ∣=∣∣∣∣∣∣∣∣∣∣∣∣a11−λa21a31⋮an1a12a22−λa32⋮an2a13a13a33−λ⋮an3⋯⋯⋯⋱⋯a1na2na3n⋮ann−λ∣∣∣∣∣∣∣∣∣∣∣∣
- P(λ) : characteristic polynomial
- P(λ)=0 : characteristic equation or eigen equation
그럼 이제 P(λ)=0를 통해 우리는 쉽게 고유값을 손으로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example>
A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찾아라.
A=[2031]
sol>
P(λ)=0⇒∣A−I⋅λ∣=0⇒∣∣∣∣∣2−λ031−λ∣∣∣∣∣=0
⇒(2−λ)(1−λ)=0⇒λ=2 or λ=1
-
λ=2
P(2)=[003−1]⇒[003−1]⋅[v1v2]=[00]⇒v2=0
∴v={[t0], for t∈R}
-
λ=1
P(1)=[1030]⇒[1030]⋅[v1v2]=[00]⇒−3×v2=v1
∴v={[−3tt], for t∈R}
이 예제를 통해 고유값은 복소수 범위와 중근을 포함하면 N개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고 고유벡터는 벡터하나가 아닌 공간으로써 존재할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이때 고유 벡터가 공간으로 존재하면 이를 고유 공간(eigen space)이라 합니다.
여기까지 고유벡터와 고유값에 대한 정의와 성질입니다. 간략하게 응용을 설명하면 PCA(주성분 분석)을 할 때 고유벡터를 통해 차원축소를 진행합니다. 이는 다음 포스팅에서 살펴보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의 오류가 있을 경우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