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lay
를 직역하면 표시, 보여줌이다.
CSS에서의display
속성은 해당 요소를 화면에서 어떻게 나타낼지 정하는 속성이다.
이 글에선 display
의 개념 중 가장 기본적인 inline
, block
, inline-block
에 대해서 알아본다.
inline
속성을 가지는 요소(element)들은 앞뒤의 요소들과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inline
속성의 또다른 특징은 해당 컨텐츠의 크기만큼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즉, width
와 height
속성이 듣지 않는다. 또한 margin
, padding
속성에 위, 아래쪽이 작동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inline
속성을 가지고 있는 요소는 대표적으로 <span>
태그가 있으며 이 외에 <a>
, <em>
등의 태그가 있다.
<span>
안녕
</span>
<span>
위코드
</span>
<span>
ㅎㅇ
</span>
span {
width: 400px;
height: 400px;
padding-top: 500px;
margin-left: 30px;
}
기본적으로 block
속성을 가지고 있는 요소는 대표적으로 <p>
, <h1>
, <div>
등의 태그가 있다.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 inline
속성과 달리 block
속성을 가지 요소는 앞뒤 요소사이에서 줄바꿈이 일어난다. 또한 width
, height
속성을 통해 크기의 조정이 가능하며 margin
, padding
역시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p>
안녕
</p>
<div>
위코드
</div>
<h1>
ㅎㅇ
</h1>
p {
width: 300px;
height: 300px;
}
div {
padding: 40px;
border: 1px solid black;
}
inline-block
속성을 지닌 요소는 inline
요소와 같이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지만 block
요소과 같이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margin
, padding
값 또한 정상적으로 줄 수 있다.
대표적인 inline-block
요소는 <button>
, <input>
등이 있다.
<span>
안녕
</span>
<span>
위코드
</span>
<span>
ㅎㅇ
</span>
span {
width: 30px;
height: 30px;
padding-top: 30px;
margin-left: 30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