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쓰는 선형대수4 ( LU Decomposition )

hyunsooo·2021년 9월 28일
0
post-custom-banner

모든 자료는 이곳에서 출처를 둠



LU Decomposition

LU Decomposition이란 어떤 행렬 A를 하삼각 행렬(L, Lowere triangular matrix)과 상삼각 행렬(U, Upper triangular matrix)로 분해하는 것을 말한다.

A를 L과 U로 분해할 수 있다면 Ax=bAx=bLUx=bLUx=b로 표현할 수 있다.
결합법칙이 가능하기 때문에 L(Ux)=bL(Ux)=b에서 Ux=yUx=y로 치환한다면 Ly=bLy=b로 나타낼 수 있다.
Ly=bLy=b를 기존의 방식으로 풀어서 yy를 구하고 yyUx=yUx=y에 대입하여 최종적인 해를 구한다.

LU 분해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단순하게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 이다.
그럼 Ax=bAx=b를 풀면 되는데, A를 L,U로 분해하여 더 복잡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계수행렬인 AA는 바로 해를 구하기엔 너무 지저분한 숫자를 가지고 있다. 이 계수행렬을 L, U로 분해한다면 눈으로도 쉽게 해를 구할 수 있다.

우리는 이미 앞에서 가우스 소거법을 사용하여 우리는 Ax=bAx=bUx=cUx=c형태로 바꾸는 법을 배웠다.

[100310001][121381041]\begin{bmatrix} 1&0&0\\ -3&1&0\\ 0&0&1\\ \end{bmatrix} \begin{bmatrix} 1 & 2 & 1\\ 3 & 8 & 1\\ 0 & 4 & 1 \end{bmatrix}

  E21    A  E_{21}     A

[100010021][121022041]=[121022005]\begin{bmatrix} 1&0&0\\ 0&1&0\\ 0&-2&1\\ \end{bmatrix} \begin{bmatrix} 1 & 2 & 1\\ 0 & 2 & -2\\ 0 & 4 & 1 \end{bmatrix}= \begin{bmatrix} 1&2&1\\ 0&2&-2\\ 0&0&5\\ \end{bmatrix}

  E32    A       U  E_{32}     A       U

E32(E21A)=U(E32E21)A=UEA=UE_{32}(E_{21}A)=U\dashrightarrow(E_{32}E_{21})A=U\dashrightarrow EA=U

위의 EA=UEA=U의 형태를 보면 A=LUA=LU의 형태와 비슷해 보인다. 어떻게 하면 A=LUA=LU의 형태로 바꿀 수 있을까?

EE의 역행렬을 양변의 좌측에 곱해주면 된다.

E1EA=E1UIA=E1UE^{-1}EA = E^{-1}U\dashrightarrow IA=E^{-1}U
E1E^{-1}LL로 나타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AALULU로 분해할 수 있게 된다.

  • LU분해의 특징
  1. 모든 행렬이 LU분해가 가능한가 ?

    [0110]\begin{bmatrix} 0&1\\ 1&0 \end{bmatrix}

    위의 경우만 봐도 LU로 분해할 수 없다.
    만약 위의 행렬이 LU로 분해할 수 있다면

    [a0bc][de0f]=[adaebdbe+cf]\begin{bmatrix} a&0\\ b&c \end{bmatrix} \begin{bmatrix} d&e\\ 0&f \end{bmatrix}= \begin{bmatrix} ad&ae\\ bd&be+cf \end{bmatrix}

    로 나타낼 수 있는데, ad=0, ae=1 이므로 d=0이여야 한다. 하지만 bd=1이여야 하므로 모순이 생긴다.

  2. 분해된 LU값은 유일한 값을 가지는가?

    아니다. A가 LU로 분해된다고 가정했을 때 L을 LDUL'DU ( LDU 분해)를 할 수 있고 결합법칙으로 L(DU)L'(DU)LUL'U'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LU로 분해할 수 있는 경우는 ?

    행렬 A를 행교환 없이 가우스 소거하여 행사다리꼴의 형태로 만들 수 있는 경우 LU로 분해가 가능하다.

    위의 역인 A가 LU로 분해가 가능하다면 A를 행교환없이 행사다리꼴로 가우스 소거법이 가능한가?는 성립하지 않는다.

    A=[000010300]=[000010300][100010001]=LUA= \begin{bmatrix} 0&0&0\\ 0&1&0\\ 3&0&0 \end{bmatrix}= \begin{bmatrix} 0&0&0\\ 0&1&0\\ 3&0&0 \end{bmatrix} \begin{bmatrix} 1&0&0\\ 0&1&0\\ 0&0&1 \end{bmatrix}=LU



행사다리꼴 (REF, Row Echelon Form)

이해를 위해 행사다리꼴이 무엇인지 알고가자.

정방행렬이 아닌 직사각행렬에서 row operation을 통해 얻은 결과물로 마치 상삼각행렬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x11...0x22...000x34...0000...x4n::::...:0000...0]\begin{bmatrix} x_{11}&-&-&-&...&-\\ 0&x_{22}&-&-&...&-\\ 0&0&0&x_{34}&...&-\\ 0&0&0&0&...&x_{4n}\\ :&:&:&:&...&:\\ 0&0&0&0&...&0 \end{bmatrix}
  • 0이 아닌 모든 행은 모든 행이 0인 행 위에 있다. ( 모두 0인 행은 맨 아래에 있어야 한다.)

  • 0이 아닌 행의 선행 계수는 항상 위 행의 0이아닌 첫 번째 항목(leding entry)의 오른쪽에 있다.

  • 피벗 아래의 모든 열 항목은 0이다.

이 상태에서 피벗 값들을 전부 1로 바꾸고 피벗의 위의 숫자들도 모두 0으로 만들어주면 이 행렬을 기약행사다리꼴(RREF, Reduced Row Echelon Form)이라고 한다.

[100...0010...00001...00000...1::::...:0000...0]\begin{bmatrix} 1&0&-&0&...&0\\ 0&1&-&0&...&0\\ 0&0&0&1&...&0\\ 0&0&0&0&...&1\\ :&:&:&:&...&:\\ 0&0&0&0&...&0 \end{bmatrix}

사다리꼴이라고 번역이되서 우리가 생각하는 사다리꼴 도형을 떠올리면 더 어렵게 다가올 수 있다. echelon이라는 단어가 사다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서 의미하는 echelon form은 step-like architecture를 의미한다.
즉 마치 행렬의 하단에 0으로 이루어진 행이 있다보니 계단의 형태를 띄고 있다고 생각하는게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행렬 A를 가우스 소거법을 적용하여 상삼각행렬을 구하는것이 REF와 같다고 볼 수 있다.

LDU Decomposition

LU 분해와 매우 유사한 행렬 분해이다.
LDU 분해를 할 때 가정할 것은, 행렬 A가 가역행렬이라는 가정이다.

행렬 A를 LU로 분해 했을 경우,

[2187]=[1041][2103]\begin{bmatrix} 2&1\\ 8&7 \end{bmatrix}= \begin{bmatrix} 1&0\\ 4&1 \end{bmatrix} \begin{bmatrix} 2&1\\ 0&3 \end{bmatrix}

또는

[2187]=[2083][11/201]\begin{bmatrix} 2&1\\ 8&7 \end{bmatrix}= \begin{bmatrix} 2&0\\ 8&3 \end{bmatrix} \begin{bmatrix} 1&1/2\\ 0&1 \end{bmatrix}

과 같이 분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 각각 L 또는 U의 1이 아닌 피벗값들만 따로 분리하여 행렬을 만들고 싶을 때 우리는 LDU로 분해할 수 있다.

첫번째 식의 경우

[2187]=[1041][2103]=[1041][2003][11/201]\begin{bmatrix} 2&1\\ 8&7 \end{bmatrix}= \begin{bmatrix} 1&0\\ 4&1 \end{bmatrix} \begin{bmatrix} 2&1\\ 0&3 \end{bmatrix}= \begin{bmatrix} 1&0\\ 4&1 \end{bmatrix} \begin{bmatrix} 2&0\\ 0&3 \end{bmatrix} \begin{bmatrix} 1&1/2\\ 0&1 \end{bmatrix}

                     L   D   U                     L    D    U

두번째 식의 경우

[2187]=[2083][11/201]=[1041][2003][11/201]\begin{bmatrix} 2&1\\ 8&7 \end{bmatrix}= \begin{bmatrix} 2&0\\ 8&3 \end{bmatrix} \begin{bmatrix} 1&1/2\\ 0&1 \end{bmatrix}= \begin{bmatrix} 1&0\\ 4&1 \end{bmatrix} \begin{bmatrix} 2&0\\ 0&3 \end{bmatrix} \begin{bmatrix} 1&1/2\\ 0&1 \end{bmatrix}

                     L   D   U                     L    D    U
로 분해할 수 있다.

위의 결과에서 알수 있는것처럼 행렬 A를 LU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유일하지 않지만
LDU를 사용하는 큰 장점은 유일하다는 것이다.

위의 계산에서 알수 있듯이, A = LU분해에서 행교환이 없다면, 소거행렬들의 각자 위치 그대로 하삼각행렬이 만들어진다.

PLU Decomposition

LU분해와 LDU분해를 할 때, 행교환없이 가우스 소거법을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행렬 A는 행교환없이 가우스 소거를 했을 때, 행사다리꼴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런 경우를 위해 LU분해를 하기전 사전에 전처리 작업이 필요하다. LU분해를 하기 전에 미리 Ax=bAx=b라는 선형시스템에 행교환을 진행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행교환에 해당하는 치환행렬(Permutation Matrix)을 양변에 곱해주는 작업이다.

Ax=bPAx=PbAx=b \dashrightarrow PAx = Pb

위의 전처리를 거치면 행교환없이 가우스 소거하여 행사다리꼴을 얻을 수 있는 행렬 PAPA를 계수로 가지고 있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전처리를 거쳐도 위의 시스템의 해는 동일하다.

전 시간에 잠깐 언급했던 치환행렬에 대해서 알아보자.

P12P_{12}의 경우 P는 Permutations의 약자이고 아랫첨자는 1행과 2행을 교환하겠다는 의미이다.

P12P_{12}를 적용하고 다시 원상복구하려면 역행렬을 곱해야한다. P12P_{12}의 역행열을 무엇일까?
1행과 2행을 교환하는 치환행렬을 다시 원상복구 시키려면 1행과 2행을 다시 교환해주면 된다. 즉, P12P_{12}가 역행렬 그 자체가 된다.

P13P23P_{13}P_{23}P12P23P_{12}P_{23}도 역행렬, 전치 관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A행렬을 PA로 표현할 수 있다. ( 행교환이 없다면 P는 단위행렬이 될 것 이다.)

  • Permutation Matrix 특징
  1. 모든 P행렬은 invertible 하다. ( 역행렬이 존재하는 단위행렬에서 행만 바꿨음 )

  2. P행렬의 역행렬은 전치행렬과 같다.

profile
지식 공유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