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되지 않은 나에게 성큼 다가온 우분투리눅스쉘스크립트컴포넌트리액트
하지만 나는 이제 덜컥 겁먹지 않기로 했다.
응 구글 켜면 그만이야
성장형 마인드셋 가진 사람 특징: 잘 못하는 일이어도 적극적으로 참여함
unit 1 : learn how to learn
SEB에서는 기본적으로 실습 위주의 자기 주도 학습을 지향한다고 했다.
백문이 불여일코라는 것이다.
자기 주도 학습에는 메타 인지 학습법이 꼭 따라온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자신에게 맞는 방법과 속도를 찾으면
방대한 개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논리.
역시 적(나)을 알고 나를 알면 백코백중이다.
ㅡ
개발자 도구 챕터를 30분 동안 쳐다보고 알아낸 것들
console: 자바스크립트 코드의 테스트에 사용
elements: 문서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용도
(단축키: option+command+i)
도구창 하단에는 styles 영역이 있는데,
css 속성 변경 적용이 마크업 개발 단계에서 유용하다고 한다.
무슨 말인지 실감은 안 나지만 유용하다니 그 친구한테는 잘됐다.
나도 유용해지고 싶구나...
아무튼 첨부 영상을 똑같이 따라가 봤다.
재준이는 모르는 알록달록한 네이버 완성을 끝으로
오늘 8시간 동안
이게 뭐야? 그게 뭔데?
소리가 절로 나왔던 단어를 정리해 본다… (코딩 0.3일차 시점)
react: UI를 만들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중 1위
ㄴUI: user interface.
사용자와 사물, 시스템, 기계 등의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일시적/영구적 접근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가상적 매개체
자바스크립트: 스크립트 언어,
HTML이 뼈고 CSS가 피부면 자바는 근육인 듯하다…
ㄴLibrary: 사용량 높은 class(객체)를 레디메이드로 제공, 이를 package로 엮은 것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프로그램간 매개체
ㄴ Application: 고유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
ㄴ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간의 서비스 계약.
Linux: 인텔, 구글, 삼성 등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까지만 이해했다)
ubuntu: Linux를 사용자 맞춤 커스텀한 배포판 중 하나(까지만 이해했다)
shell script: 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를 엮은 batch file
ㄴ shell: 운영체제와 사용자간 명령어 해석기
개발자로 가는 길은 아직 조금 멀어 보이지만
좋은 질문은 효율적인 검색에서 나오고 그게 쌓이다 보면
가까운 미래에 나도 좋은 답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남에게 도움되는 수준이 되면 그때는 나를 개발자라고 소개할 수 있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