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문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for문을 선언할 수 있다
📌 for문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어문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이 있다. 그 반복문 중 하나가 바로 for문!
제어문⊃(조건문,반복문⊃(for문))
쉽게 말해서 특정 작업을 반복시킬 때 쓰는것!
for(1; 2; 3){
for문 안에서 반복될 코드4;
}
//for(1 초기값; 2 조건문; 3후처리)
🤔 1, 2, 3은 뭐고 반복될 코드는 반복되는건데 그냥 코드만 반복되는거야?
👩💻 어떻게 for문이 작동하는지만 알면 쉬울거야!
순서를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1 > 2 > 4> 3 첫번 째 반복이 진행될거야! 밑에 그림처럼!
그 다음부터는 2 > 4 > 3 > 2 > 3 > 4 .... 이 순서대로 진행될거고! 밑에 그림 참고해줘!
🤔 1, 2, 3은 뭐야?
👩💻 결론 먼저 얘기하면, 1 은 for문의 시작이고 한 번만 실행되는 식이야. 진입처리부분(초기값)이라 생각하면 돼!
2 는 조건식이야. 2가 true일 때, for문이 반복할 수 있어. 2가 false일 때 for문이 끝나.
마지막으로 3 은 아까 말했듯이 가장 마지막으로 실행되는 식이야. 즉, 2가 true고, 4가 끝난 뒤에 3이 실행되는거지!
그리고 for(1 ; 2 ; 3) 1(초기값)과 2(조건식)을 구분할 때 꼭 세미콜론(;)을 찍어줘야해!!! 3뒤에는 세미콜론 없어!! 찍으면 무조건 오류나 절대 찍지마
만약 식을 여러개 쓸거면,
int j=0;
for(i=0; i<20; i++, j=i+1)
3번에는 (i++)과 (j=i+1) 총 두개의 식이 있어. 저 두 개를 함께 실행시키고 싶으면 콤마(,)로 연결하면 돼!
🤔 대충 알겠고 예시보면 이해 될거 같아.
📣 1 ~ 20 사이의 짝수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for(초기값; 조건문; 후처리){
반복될 코드 = 짝수 출력;
}
for(int i=2; i<=20; i=i+2){
System.out.println(i);
}
✍ 정리
📌 for(초기값; 조건문; 후처리){
반복될 코드;
}
초기값 > 조건문 > 코드 > 후처리 > 조건문 > 코드 > 후처리....
순으로 작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