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월)
오늘 오후 5시까지 페르소나 설정
오후 5시: 분석 시작 →
3/25(화)
~오후 2시까지 분석.
2시~; 내용 취/통합, 분석고도화+ 시각화 시작→
3/26(수)
~오후 2시까지 시각화 마무리
2시~: ppt 선정 + 작업 시작 →
3/27(목)
~오후까지 ppt 마무리
2시~ 발표 영상촬영, 발표 준비
3/28(금)
오전 10시까지 발표 자료 제출
- 14시 발표
주제
: 고객 페르소나 맞춤형 부동산 분석
요약
: 서울시 부동산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의 흐름과 주요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각 고객 페르소나의 특성과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실거주, 투자, 자산관리 등 다양한 목적에 최적화된 부동산 전략을 제안합니다.
.
나는 고객B 페르소나를 맡아서 분석+PPT작업을 했다.
은퇴 후 중/노년층의 거주지를 마련하기 위한 서울시 부동산 분석을 준비하며, 각종 정책이나 브리핑 자료들을 많이 찾아봤었다.
사회현상 데이터를 분석해서, 관련 정책이나 서비스 개발을 위한 분석이 해보고싶어졌다.
아니면 내 전공을 살려서, 관광을 통한 지역소멸 극복 방안
이라던가..
바로 취업시장에 뛰어들 것이 아니니까, 4학년때 혼자 공모전이라도 준비해보거나.. 해야겠다!
원활한 소통을 기반으로 각자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으며, 서로의 약점을 보완하면서 활발한 질의응답을 통해 실력을 키워나갔습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매일 준비한 내용을 발표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완성도를 높인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프로젝트가 전체 과제 안에 개별 과제가 포함된 형식이어서, 개인적으로 부동산 소형 아파트 갭투자의 전세가율 수치 조사 및 세밀한 분석이 부족했던 점이 아쉬웠습니다.
또한, 데일리 스크럼에 소홀했던 적이 있어 향후 프로젝트에서는 더욱 철저하게 진행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라이브러리를 다루는 기술이나 통계 지식이 부족하여 분석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TIL(오늘 배운 것 정리) 작성이 미흡했던 점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프로젝트 기록과 스크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지 못한 점이 아쉬웠으며, 이러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더 체계적인 진행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회사의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비즈니스를 개선시킨다는 생각을 가지고 진행해보고시싶습니다.
또한, Figma와 같은 브레인스토밍 협업 툴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공유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겠습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하루 동안 사용한 코드와 새로 알게 된 개념들을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려고 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조장으로서 한 것은.. 특별하겐 없지만 ! 팀원들끼리 서로 도와가며 잘 마무리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데이터에 대해 전화까지 걸어서 문의해볼 정도로.. 모두 열정적이셨다. 🔥
.
밍글데이도 재밌어서 리프레쉬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벌써 3월이라고 글을 마무리했던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 4월이다..!
4월엔 벚꽃도 보고 봄을 만끽하며 (겨울좋아함)(만끽하는척) 더 화이팅 해야겠다 🌸🌺🌷
.
모두 모두 고생많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