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in, DNS, Hosting

김루루룽·2022년 5월 8일
0

React, Next.js

목록 보기
29/42

Domain

도메인을 이해하기 전에 우선, ip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ip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릿, 서버 등등)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ip라고 한다.
예) 115.68.24.88, 192.168.0.

Domain이란?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는데,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 opentutorials.org -> 115.68.24.88
  • naver.com -> 220.95.233.172
  • daum.net -> 114.108.157.19

출처 : 생활코딩

DNS

Domain Name System의 약자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흔히 "전화번호부"에 비유된다.
인터넷 도메인 주소 체계로서 TCP/IP의 응용에서, www.example.com과 같은 주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192.168.1.0과 같은 IP 주소로 변환하고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출처 : 위키백과

Hosting

웹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서버 프로그램을 통해 작동한다.
유저가 웹페이지에서 명령을 내리면,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서버 컴퓨터에게 명령에 대한 값을 요청한다.
이때, 서버 컴퓨터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찾아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보내주고,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이를 전달받아 유저에게 보여준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홈페이지 운영을 위해, 자료가 저장되는 공간인 서버가 꼭 필요하다는 것 이다.

호스팅은 정보의 집약체인 서버의 전체 혹은 일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24시간 내내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해야 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회선을 사용해야 하며, 철저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인이 서버를 관리하기보다 전문 업체의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
1day 1push..plz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