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를 봤을 때 좌표 상에 두 점을 찍고 반지름을 가지고 원을 그려봤을 때 접하는 점을 출력하면 되겠다고 생각했지만 수학 상식의 부족으로 구현하지 못했다.두 원을 배열 상에 그린다. (배열의 원 내부의 모든 좌표에 +1을 해준다.) 겹치는 부분은 2가 되기 때문에 좌표

단순히 숫자를 받아서 내림차순으로 정렬만 해주면 된다제출한 첫 코드인데, 단순하다.리스트로 각 자리수를 잘라서 입력을 받고, 역순으로 정렬한 인자를 출력해준다.정말 대박이다...리스트 슬라이싱을 이렇게 활용할 생각은 전혀 못했다.그리고 sorted앞에 붙은 \*은 포인

https://www.acmicpc.net/problem/15649모든 permutation을 뽑아서 출력하면 된다.DFS로 permutation을 만들어서 출력한다.코딩테스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를 못쓰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itertools를 사용하지 않

https://www.acmicpc.net/problem/15650이전 문제인 https://velog.io/@kimjaeseop/BOJ-15649-N과-M-1 와 거의 유사하다오름차순으로만 출력되게 바꾸면 된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13원래는 정규표현식을 배워서 풀어보려고 했으나, 외장 모듈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오토마타 수업때 배웠던 DFA(Deterministic finite automaton)를 사용하여 풀었다.(100+1

단순히 bool array로 램프를 구성해서 BFS로 모든 경우의 수를 뽑아낸다 \* ㄴㅁㅇㅇㅇㅇ

https://www.acmicpc.net/problem/1038감소하는 수의 최댓값은 9876543210기본적으로 감소하는 수 리스트에 0~10은 추가하고 시작리스트 첫 번째 인덱스부터 접근하면서 (해당 숫자의 큰 자릿수+1) ~ 9까지 앞에 붙여준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5685http://godingmath.com/rotation90회전, (y, x) -> (-x, y)lst에 꼭지점을 추가한다.원점에서 가장 먼 곳, 즉, 회전기준점을 뽑기 위해 lst-1로

https://www.acmicpc.net/problem/1091처음엔 Si, i와 서로 교환 하는 줄 알았는데, 단순 배치였다.카드를 섞을 때마다, 카드와 P를 비교해서 정답인지 체크한다.list를 copy할 때, list_A = list_B를 하면 단순히

https://www.acmicpc.net/problem/1629단순하게 Python으로 A의 B승을 구하여 C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 시간초과반복문으로 A에 B를 곱해주며 매번 C를 나눠준다시간초과나머지가 생기는 규칙적인 패턴이 있으므로 패턴을 찾아서 접근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