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 기본 스타일 : 웹 브라우저에 웹 문서를 표시할 때 브라우저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스타일
인라인 스타일 : sytle 속성을 사용해 필요한 요소에 스타일을 직접 지정함.
내부 스타일 시트 : 문서 앞부분에 문서에서 사용하는 스타일을 모아서 함께 정의하고 관리
외부 스타일 시트 : 문서에서 사용하는 스타일을 모아서 따로 파일로 저장한 후 연결해서 사용
외부 스타일 시트 사용 기본형
<link rel="stylesheet" href="외부 스타일 시트 파일 경로">
전체 선택자
: 문서의 모든 요소에 스타일 적용
* { margin : 0; }
타입 선택자
: 특정 태그를 사용한 모든 요소에서 스타일을 적용
p { font-style : italic; }
클래스 선택자
: 특정 부분만 선택해서 문서 안에 여러 번 적용. 마침표(.)를 붙여서 사용함.
.bg { background-color: #ddd; }
id 선택자
: 특정 부분만 선택해서 문서 안에서 한 번만 적용. #을 붙여서 사용함.
#container { width: 500px; }
그룹 선택자
: 여러 요소에 같은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함.
h1, h2 { text-align : center; }
① 사용자(user) 스타일
→ ② 제작자(author) 스타일
→ ③ 브라우저(browser) 기본 스타일
스타일 적용 범위가 좁을수록, 즉 정확히 필요한 요소에만 적용할 스타일일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짐.
① !important
: 다른 스타일보다 우선 적용
→ ② 인라인 스타일
: 태그 안에 style속성을 사용
해 해당 태그만 스타일 적용
→ ③ id 스타일
: 지정한 부분에만 적용되는 스타일이지만, 한 문서에 한 번만 적용할 수 있음. ( #선택자이름
)
→ ④ 클래스 스타일
: 웹 문서에서 지정한 부분에만 적용되는 스타일로 한 문서에 여러 번 적용할 수 있음. ( .선택자이름
)
→ ⑤ 타입 스타일
: 웹 문서에 사용한 특정 태그에 스타일을 똑같이 적용
스타일 시트에서는 자식 요소에서 별도로 스타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부모 요소의 스타일 속성들이 자식 요소로 전달되는데, 이것을 스타일 상속이라고 함.
배경색, 배경 이미지는 스타일 상속이 되지 않음.
스타일 상속만으로 모든 스타일의 충돌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님. 만약 부모 요소로부터 글꼴을 상속받은 자식 요소에서 다른 글꼴을 사용하려면, 우선순위에서 설명했던 '명시도'나 '소스 순서'등에 따라 해결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