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으로 TIL를 다시 쓰기 시작하면서 일단은 TIL를 멈추기 전 진행하고 있었던 디자인시스템 구축에 대한 내용을 한번 정리하고 넘어가려한다.입사 후 여러 프로덕트들이 생겨났지만 하나의 서비스처럼 제공되어야 했다. 따라서 사용자 대시보드에서 서로 다른 프로덕트라 하더
이 블로그에 마지막으로 TIL을 기록하진 어언 4개월이 지났다. 그동안 나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한번 되짚어보자.물론 귀찮아서, 게을러서라는 이유를 부정할 수 는 없겠지만 그렇다고해서 그게 주된 이유는 아니었다. 내 나름 생각과 계획이 있었고 그를 위한 시간이 필요했
지난 TIL에 이어서 storybook을 통해 angular로 구현한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진행했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이번 컴포넌트는 @Input() 뿐만 아니라 @Output() 으로 상위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는 방법과 ng
1. 개요 > 어제 작업에 이어서 오늘은 angular 컴포넌트를 storybook으로 이동시켜 자동으로 디자인페이지를 구성하여 확인할 수 있게하였고 이를 npm 패키지로 배포하는 단계까지 진행했다. 2. storybook 적용하기 > 1) storybook 설치
그동안 진행했던 디자인시스템은 우리 팀의 angular 프로젝트에 컴포넌트로 구현했다.따라서 다른 팀에서 내가 작업해썬 컴포넌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추가 리소스가 필요했다.컴포넌트 사용을 위한 문서화컴포넌트 디자인 페이지 별도 제작컴포넌트 사용을 위한 인수인계
신성한 근무일에 AWS Summit Seoul 2023에 다녀왔다. 개발자로서 첫 IT 컨퍼런스 방문이었고 그것도 최대규모의 컨퍼런스였기 때문에 설레는 마음으로 갔었고 값진 경험들을 할 수 있었다. 그 하루를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신성한 근무시간에 보내준 샐러드랩 짱
약 2주전부터 대시보드 페이즈를 만드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미 angular로 구성되어있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페이지를 추가로 만들면 되는 것이었다. 그전까지는 이런 시스템이 없어서 해당 화면에 필요한 요소를 그때그때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었다. 때문에 같은 select박
1. 개요 > 나에게 필요한 역량 중 하나라고 생각했던 소통 능력을 기르고자 여러번 회고를 했었고 그 노력 중 하나로 관련 책 읽기를 진행했다. 읽으면서 느꼈던 감정들과 새롭게 깨달은 점 등등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 2016, 박재연 - 말이통해야 일이 통한다
오늘은 어제 이야기하려고했던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저번주부터 같은 팀에 속한 개발자 외 동료분과 소통하며 기능개선 작업을 진행하고있다. 기존처럼 혼자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획팀, 디자이너팀들과 소통하며 작업하면서 느낄 수 있었던 것들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
오늘은 입사하고나서 개발자 외의 동료와 소통하여 하나의 태스크를 마친 날이다. 따라서 TIL을 그 주제에 대해 작성하려고했는데 그 전에 이것부터 집고 넘어가야할 것 같다.정말 어려운 주제다. 과거 개발자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은? 이라는 주제로 TIL를 작성한 적이 있
모던 Javascript 책 정독flutter로 앱 만들수 있을 정도로 숙련도 익히기앱 기획목표를 세부적으로 나눴다.목표들 중 비슷한 범주의 목표들 (비슷한 노력과 시간대를 사용해야 되서 동시에 할 수 없는 목표들)을 나눴고 같은 범주의 목표들끼리 우선순위를 나눠서 먼
벌써 올해의 1분기가 지나갔다. 작년 말에 샐러드랩에 입사해서 3개월이란 시간이 지났고 어느덧 수습기간이라고 부를만한 기간도 지났다. 지금의 난 잘하고 있는 걸까?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할까?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고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지금 나의 심정을 정리
우선 이번달부터는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OKR을 설정하려고 한다.기존에는 올해 OKR 달성을 위한 세부적인 목표들을 세웠다면 이제는 넓은 범위로 전체적인 일정을 계획하고 그 세부 OKR 달성을 위한 월별 OKR을 설정할 것이다. 정리하자면기존 : 2023 OKR ->
1. 개인 OKR > objective : 몸과 마음의 여유찾기 (가벼운 사람 되기) > key results 몸 → 운동 : 체력기르기 (68kg) : 일주일에 3번이상 30분이상 땀날정도로 운동 마음 → 먼저 연락하고 안부를 묻는 사람이 되자. : 한달에 한번
오늘은 그동안 작업했던 기능을 본 서버에 적용하는 과정에에서 팀장님과 협업하면서 겪었던 일화를 풀어보고자한다.일화는 이렇다. 내가 작업했던 내용 중에 현재 DB 데이터로는 알 수 없는 정보가 필요했고 이는 DB 구조를 수정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현재 서비
그동안 배운 Dart문법을 이용해서 1시간 가량 간단한 턴제 게임을 만들어보았다. 전체적인 맥락은 내일배움캠프에서 처음 웹개발을 배울 때 python으로 만들었던 1:1 격투게임을 생각하면서 클래스와 공격, 수비 등을 구현해보았다.내일배움캠프 - python 게임 만들
속성와 메서드 메서드에 같은 이름의 변수가없으면 this를 사용하지않아도 해당 클래스의 속성에 접근 가능 constructor late를 통해 constructor에서 할당 가능- final을 통해 수정 불가능 constructor - 2 : positional a
최근 api서버에 응답데이터를 cache를 이용해서 관리하였다. 캐시 기능을 구현하면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했던 것과 부수적으로 구현한 기능을 정리해보자.가장 큰 관점은 캐시에 저장한 데이터가 언제까지 유효한가? 이다. 해당 데이터가 수정되거나 다시 계산해야할 필요가 있
이번에 작업을 진행하면서 여러 요청에서 동일하게 계산하고 응답하는 결과를 cache를 사용하여 관리하게 되었다. 작성 당시에는 이미 사용중인 비슷한 기능을 하는 코드를 가져와서 구현하였지만 좀 더 확실하게 알고 넘어가고자 ChatGPT와 공식문서를 보며 알아보았다.무
1. 개요 > 팀에서 공동으로 사용 중인 django 프로젝트에 내가 작성한 모델을 DB에 추가해야했다. 그런데 migrations 파일들이 .gitignore에 해당하여 이전 마이그레이션파일이 없는 상태로 나의 모델을 DB에 추가하려고하니 python man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