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의 익명함수를 좀더 쓰기 편하게 축약한 형태
- 내부로 전달되는 파라미터가 하나면 괄호는 생략 가능
- 코드블록 안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한 줄이면, 코드블록 괄호도 생략 가능.
ex) 화살표 함수의 예시
const plus = function(num1, num2) {
const result = num1+num2;
console.log(result);
return result;
}
const total = plus(3,5);
console.log(total);
//위의 코드를 아래처럼 축약 할 수 있다..
const plus = (num1, num2) => {
const result = num1+num2;
console.log(result);
return result;
}
const abc = (txt) => {
console.log(txt);
}
abc("hello");
//위 처럼 내부로 전달되는 파라미터가 하나일 경우 아래처럼 괄호 생략 가능
const abc = > {
console.log(txt);
}
abc("hello")
const abc = > {
console.log(txt);
}
abc("hello");
//위 처럼 코드블록 안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한 줄이면 아래처럼 코드블록 괄호 생략가능
const abc = txt => console.log(txt);
abc("hel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