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10 Web Domain Name

김설영·2022년 3월 10일
0

생활코딩

목록 보기
3/8

Domain Name System (DNS server)

IP address

Host(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는 컴퓨터 혹은 장치) 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주소

모든 운영체제에는 hosts라는 파일이 있다.

그 파일에 IP주소와 Domain주소에 대한 내용을 적어두면, 도메인 주소로 해당 IP 주소를 들어갈 수 있다.

Hosts

IP주소 기록부(?)
(ex: 111.111.1.1 - www.seol9world.com)
이런 형태로 Domain 주소를 직접 할당해서 사용하였음.

Security

Hosts 파일을 변조하면 다른 사이트로 가버리는게 가능하다.. ㅠ
변조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백신은 항상 변조되는 걸 지켜보고 있다.
https를 꼭 확인하자. 주소를 변조하면 알아챌 수 있고, 경고를 해준다.
중요한 사이트는 꼭 https를 통해서 접속하자.

Domain Name System


DNS server에 특정 IP가 특정 Domain name을 갖도록 하고 싶다고 요청함.
DHCP를 통해, DNS server에 IP 주소가 자동으로 세팅이 됨.
어떤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DNS server에 해당 도메인 주소의 IP가 뭔지 물어봄.
DNS server는 해당 도메인 주소의 IP주소를 응답해주며, 우리 컴터는 해당 IP와 통신 ㄱㄱ

Public DNS

DNS server의 IP 등이 있어야만 접속이 가능할 것임.
우리의 컴퓨터가 DNS server의 IP라던지..의 값을 알고 있어야 함.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SKT, KT, ...)가 우리의 컴퓨터에 DNS server의 IP를 자동으로 세팅하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
다른 DNS server를 쓰고싶다면? > 검색 후 사용!

DNS Internal

  1. Domain 명칭

  2. 각 Domain 부분을 담당하는 독자적인 서브 컴퓨터가 존재한다.

상위가 하위를 알고있어야 한다.
단, 자기 바로 아래의 하위 서버만 알고 있다.
Root domain을 담당하는 DNS 서버는 Top-level domain을 담당하는 서버 목록과 IP를,
Top-level domain을 담당하는 DNS 서버는 Second-level domain을 담당하는 서버 목록과 IP를,
Second-level domain을 담당하는 DNS 서버는 SUb domain을 담당하는 서버 목록과 IP를 알고있어야 함.
결국, blog.example.com.의 IP주소는 Sub domain을 전담하고 있는 DNS 서버가 알고 있다.

모든 Computer들은 Root domain DNS server의 IP 주소는 알고있다.
Host가 Root에 IP를 물어봄 -> com으로 끝나니까, com을 전담하는 DNS server를 알려줌
-> example.com을 전담하는 DNS server를 알려줌 -> Sub domain DNS server를 알려줌
-> 해당 Domain에 대한 IP 주소를 Host에게 보냄 -> IP 주소 get!

profile
블로그 이동하였습니당! -> https://kimsy8979.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