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10 공유기

김설영·2022년 3월 10일
0

생활코딩

목록 보기
2/8
post-thumbnail

공유기(Roter)

IP address : 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IP 주소가 있어야함!
가정에서는 하나의 회선을 구입하고, 공유기를 사용함.

WAN(Wide area network) : 통신사로부터 발급받은 IP 주소가 부여됨. 컴퓨터가 아닌 공유기에 접속하는것임.
Public IP address
ex: 59.6.66.238

LAN(Local area network) : 연결된 각 각의 기기들이 IP를 부여 받음.
+ 공유기도 IP를 부여받음
공유기 주소 (192.168.0.1)
Gateway address
Router address 라고 함.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 주소
(ex: 192.168.0.0~255.255)
Private IP address 라고도 함.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컴퓨터에서 위키피디아 검색 및 요청 -> Gateway address에 해당하는 기기에 요청 보냄
-> 요청한 컴퓨터의 IP가 공유기에 기록 됨 -> NAT를 통해 요청한 Data를 변경 함
-> private IP address를 Public IP address로 전환 -> 변경된 Data를 위키피디아로 쏴줌!

위키피디아가 Public IP address로 응답 -> 공유기가, 응답 정보를 요청한 컴퓨터로 응답 해줌

Private IP address를 홈 서버로 사용할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Port

내 컴퓨터를 Client가 아닌 Server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Port Forwarding을 사용하자!

Port : 우리의 컴퓨터에 Port라는 개념이 있다.
특정 컴퓨터에 접근을 했을 때, 여러 서버가 있을텐데 어떻게 식별을 할까?
누구랑 상호작용을 해야 할까?

이걸 컴퓨터에 알려줘야하는데, 이걸 "Port"라고 한다.
0번부터 65535번까지의 포트가 있다.

22 - SSH
80 - http (web은 이걸 이용함.)

0번 ~ 1023번 까지의 port는 Well-known port이다. (미리 정해져 있는 포트)

우리의 컴퓨터에 web server를 깔면 80번 포트에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있음.
서버를 두 대를 쓰려고하면 어떻게 할까?

80번은 못깜. 다른 포트를 쓰자. 예를 들면 8080번 포트! (관습적으로 두번째 서버는 해당 포트에 설치한다.)

어떻게, 이 두개의 웹 서버가 깔려있는 상황에서, 어떤 서버와 상호작용 할 것인가?

url의 비밀!
ex)
http://opentutorials.org -> 80번 port에 연결 됨
http://opentutorials.org:8080 -> 8080번 port에 연결 됨

Port Forwarding

서버에 접속하게 하기 위해서는 WAN IP 주소를 알려줘야 함.
WAN IP 주소를 통해 접속하면, server를 운영하는 private ip 주소로 연결을 해줘야 함.


라우터가 안내자 역할을 함.
안내자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라우터에 설정을 해주면 됨.

Dynamic VS Static IP address

부족한 IP 주소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
유동 IP

주어진 IP가 계속 바뀌는 것이 유동 IP!

server를 깔아놨을 경우...?
IP 주소가 바뀌면 서버 접속이 안됨.

통신사에게 2~3만원 더 주면 고정 IP(정적 IP)를 받을 수 있음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IP address는 중복되면 안된다!
수동으로 지정하는 건 어떻게 하면 될까?

DHCP Server가 필요하다.
우리의 라우터는 DHCP Server라고 하는 프로그램을 보통 내장하고 있음.

인터넷 사용 기기들에는 DHCP Client라는게 기본적으로 깔려있음.

통신 부품들은, 부품마다 공장에서 기록된 고유한 식별자를 갖고 있음.
(ex> 8c:85:90:0c:e3:cc) -> Physical address라고도 함.

기기가 MAC address(?)를 라우터에 보냄. IP 주소 달라고 요청.
-> DHCP Server(라우터)가 정보를 받은 후, IP 주소를 임대해 줌.
-> 기기는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겠다고 응답
-> DHCP Server(라우터)가 임대해 준 IP 주소를 입력해 둠. 또한, 임대 여부와 임대 시간(2시간)을 알려 줌. 자세한 과정은 마법이다~

기본적으로 WAN도 Dynamic IP임.
통신사도 거대한 DHCP server임.

추가로 공부하면 좋을 것들

NAS(Network Attached Storage)
Dropbox, Google Drive, Web hard와 같은 서비스를 집에서 직접 운영
Storage, Backup 등 편한 기능이 들어있는 솔루션
직접 웹하드를 운영해보고 싶으면 NAS를 검색!

Domain name
도메인~
freenom.com : 1년 무료
Dynamic DNS : 고정 IP효과를 볼 수 있음.

Security
http(80번 포트) : 중간에 누군가 감청할 확률이 매우 높다.
https로 보안을 보완! : 안전하게 정보를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받을 수 있게 해줌.
Let's encript와 같은 무료 서비스를 살펴볼것.

Web server 제공 업체
Web Hosting
Server Hosting
Cloud Computing
-> 이런 업체들을 통해서 실제 서비스를 운용해볼것.

profile
블로그 이동하였습니당! -> https://kimsy8979.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