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텐션 분석은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고객 참여와 수명에 대한 상태를 제공합니다.
고객이 머무르거나 떠나는 이유와 패턴을 이해하고 전략을 추출해 실행 가능한 데이터로 전활 할 수 있습니다.
그로스 해킹의 대표적인 분석 프레임워크로 AAARR을 많이 사용합니다.
A: Acquisition (사용자 획득)
A: Activation (사용자 활성화)
R: Retention (사용자 유지)
R: Revenue (매출)
R: Referral (전파)
A - A - R - R - R 순으로 유저의 사이클을 체계화한 프레임워크입니다.
- 리텐션이 중요한 이유
사용자 유지가 되지 않는 서비스인데 광고를 늘려
Acquisition(사용자 획득)
과Activation(사용자 활성화)
을 늘리게 되면 서비스 매력을 못느껴 금방 이탈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사용자를 받는 것보다 먼저 해결할 것은 기존 사용자들의 서비스 만족이나 지속성을 보는 것이 Retention입니다.
- '지속성 사용'측정 방법
일반적으로 '방문'을 기준으로 측정하나 '접속','방문'을 리텐션의 기준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분석하려는 특정 서비스에따라 측정 기준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정관리 앱 -> '일정 등록' 또는 '등록된 일정 완료'의 로그를 이용하듯이 기준은 바뀔 수 있습니다.
사용자 B의 경우 Day2와 Day5를 제외하고 방문빈도가 많다 볼 수 있음으로 매일매일 사용하는게 아닌 주기가 길 경우에는 클래식 리텐션으로 사용자 유지여부를 판단하기에는 과소 계산을 하게됩니다.
이렇기 때문에 사용 주기가 긴 서비스들의 경우 롤링 리텐션(Rolling Retention)
이라는 계산법을 많이 사용하며 이는 이탈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언바운드 리텐션(Unbounded Retention)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롤링 리텐션은 기준일을 포함하여 이후에 한 번이라도 재방문한 유저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즉 방문 후 재방문 시 방문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탈하지 않은 사용자로 계산한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롤링 리텐션은 여행서비스, 쇼핑몰 ,부동산 서비스 등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주기가 긴 서비스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며, 클래식 리텐션으로 봤을 때와 다르게 앱 푸시를 보낸다던지, 과한 할인을 한다던지 하는 장기적인 사용자 유지를 하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직 및 협업하는 환경에 따라 수치가 갑작스럽게 바뀌기 때문에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범위 리텐션(Range Retention)은 클래식 리텐션을 유연하게 확장한 개념이며, (일/주/월)단위로 한정짓는 클래식 리텐션과 다르게 유연하게 나누는 특징이 있습니다. 범위를 지정하는게 특징이어서 Bracket Retention이라고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