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O 학습
- 인플루언서 마케팅 학습 및 이메일 초안 작성
인터넷이 생기기 전 용어
인터넷이 생긴 후
ZMOT에서 가장 비중이 큰 것은 검색 엔진이다. ( 대략 40% )
그중에서 구글 검색엔진이 50%이상 많이 쓰인다.
크롤링 : 크롤러라는 로봇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SEO하려면 크롤러가 좋아할 만한 글을 씀)
인덱싱 : 키워드 또는 각 키워드별 문서 등을 연결해서 수집함
랭킹 : SERP로 인해 검색 결과가 상위부터 리스트업 됨
모바일 친화적
모바일 친화 점수가 높아야함 ( 60 ~ 70 ) 이상이면 친화적이다함
페이지 스피드
페이지 로딩이 빨라야함 (작동 순서가 뒤죽박죽이면 로딩 시간이 오래걸려 페이지 스피드에 영향을 미침) , png 나 gif, 영상 영향을 줌
콘텐츠 퀄리티와 길이
콘텐츠가 너무 짧으면 SERP에 잘 안올라옴.
타이틀 태그
콘텐츠의 최상단의 제목이 노출 되게 하는 것이 중요
메타 태그
제목 밑에 부연설명 (discription) 메타 태그는 크롤링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클릭률에 영향을 미친다.
헤드 태그
헤드 태그들 , Heading1 , Heading2 와 같은 소제목 강조 태그.
태그마다 대상이랑 의도 키워드들이 다 들어가 있어야 한다.
1.키워드 (가장 중요!)
URL
URL에 내가 사용할 키워드들이 많이 들어갈 수록 좋다.
타이틀
타이틀에도 내가 선점할 수 있는 여러 연관 키워드들을 포지셔닝한다.
헤딩 태그
헤딩 태그에도 선점할 수 있는 키워드들이 들어가면 좋지만 너무 많이 들어가게 되면 콘텐츠 퀄리티에 나쁜영향을 준다.
크롤러가 키워드 빈도도 측정이 되지만 이용자의 클릭 수와 스크롤 반경 등 이용자 관점에서의 실질적인 퀄리티 조건도 포함된다.
Heading1은 보통 키워드 한 개 정도 지향
Heading2는 3~5개 정도
Heading3는 조금 많아도 상관없다.
텍스트
텍스트를 작성할 때 타이틀을 CRM마케팅을 예로 든다면 이란? , 전략 , 성공 사례 등 관련 키워드들을 배치해준다.
헤드 1 , 2로 넘어가서도 CRM , CRM 마케팅의 정의 등 관련 키워드들을 사용해준다.
이미지 태그
이미지를 넣을 때 타이틀 태그와 알트 태그를 정할 수 있다.
타이틀 태그 : 이미지가 갖고 있는 주제
알트 태그 : 시각 장애를 위해 글을 소리로 읽어주는 서비스
직접적으로 크롤러에 작용하지 않더라도 이 태그들에 키워드들을 같이 써주는 게 유용
인덱싱과 백링크를 만드는 단계
구글 서치 콘솔 어드민에 접속
URL 검사 항목에서 '색인 생성 요청'클릭은 따로 함.
보통 1주에서 길면 2주 안에는 색인 요청이 됨.
이것은 내 콘텐츠에서 사용된 키워드가 담긴 여러가지 콘텐츠 중 , 나의 콘텐츠가 올라가기 좀 더 쉽게 하는 방법 ( 프로세스 정확히 알 수 없음 )
출처
SEO란? 구글 SEO 최적화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5evFsqf7NHE
https://www.youtube.com/watch?v=zd6d4kuNJA8
이메일이나 , 문의 창구가 있는지.
1. 자기 소개
2. 우리 브랜드는 어떤 브랜드인지 소개
마무리 인사하기
가이드라인 제공
콘텐츠 작성 기간
콘텐츠 작성 필수 내용
브랜드 계정 태그
사진 N장 이상
블로그 : 지속성 강함 ,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이용자층 많음 , 전환율 높음
인스타그램 : 단순한 재미 추구, 휘발성 강함.
다른 평범한 브랜드들과 다르게 우리 브랜드의 차별점을 강조
블로그 보다는 가이드를 적게 주는 것이 좋다.
자율성을 주는것이 좋다.
인플루언서도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와 자기 이미지와 맞을지 고민을 많이 한다.
(그것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으로 설명)
여러 인플루언서 옵션도 생각하고 다양하게 컨택하자.
당신의 아이디어/콘텐츠를 최대한 존중한다는 스탠스를 가져가자!
주의!(내생각)
예전에 컨택했던 인플루언서들에게 중복으로 컨택하지 않게 주의해야할 것 같다.
무조건 유명한 분들이 좋을까?
목적을 먼저 생각하고, 목적에 맞는 인플루언서를 섭외하는 것이 좋다.
우리의 브랜딩 목적을 팔로워들이 잘 알 수 있게 할 수 있는 인플루언서
아티스트들은 콘텐츠에 관여를 많이 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KPI는 우리가 직접 설계를 하고, 캠페인이 끝나면 복기가 필수이다. (계속 가져가야 할 점 , 개선할 점)
비용이 들어갈 시 우리가 KPI나 설계를 더 잘 구성하도록 노력해야한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lArXiwvVVBo
https://www.youtube.com/watch?v=Nj_RTFlsxu4
모바일 상세정보 안내 박스에 대해 디자인팀내에서 의견 충돌 발생
( 상세 정보 안내 , ~ 기수 신청 , 알림 받기 ) 세가지 박스 기능 추가 필요.
박스 세 개가 들어갈 시 모바일 디자인을 해칠 수 있음.
상세 정보 안내가 실질적으로 전환율에 도움이 되는지?
상세 정보 안내를 햄버거 아이콘으로 옮겨도 전환율에 영향이 없을 시?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A4 유입경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함.
1.탐색 창에서 유입경로 탐색 분석 템플릿으로 이동.
단계에서 연필 모양 클릭.
설정 되어있는 각 단계를 모두 제거하고 1단계는 pageview 선택
2단계는 트리거 설정이 되어있는 home메모어상세소개클릭을 선택 구별하기 쉽게 이름란도 상세소개클릭으로 변경해준다.
page_view를 처음 설정 시 모든 유입 유저로 집계 되기 때문에 방문 페이지 + 쿼리 문자열을 필터링 해준다.
조건을 포함으로 해주고 page_view 유입을 확인하려는 적절한 쿼리 문자열을 선택해준다.
/home/의 홈화면 인원 1,109명에서 상세소개 클릭 인원은 22명입니다.
전체의 1.98% 비율입니다.
모바일 비율이 상대적으로 대부분 높습니다.
알람신청 = 0
기수 신청한 비율 = 4
상세정보를 본 16명중 4명이 기수 신청을 하였다.
보통 정보를 지인에게 듣거나 추천을 받는 경우 , 정보를 미리 알고있는 이용자가 대부분이며 상세정보를 보고 기수신청하는 인원은 미리 기수신청을 염두에 두고 신청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