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는 MVP(Minimum Viable Product)의 개념을 이해하고, 우리 팀의 서비스에 적용해 MVP 범위를 설정하는 실습까지 진행했습니다.
MVP란?
→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최소 기능만 갖춘 제품으로, 빠르게 사용자 피드백을 받고 제품 방향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음
대표 사례
서비스명 | MVP 사례 설명 |
---|---|
Airbnb | 창업자들이 자기 집 거실을 웹사이트에 올려 반응 확인 |
Dropbox | 실제 제품 없이 시연 영상만으로 초기 피드백 확보 |
배달의민족 | 초반엔 UI만 만들고, 실제 배달은 전화로 직접 수행함 |
중요 포인트
꼭 개발까지 하지 않아도 MVP 가능!
UI/UX, 영상, 설문, 광고 등 다양한 방식으로도 검증 가능
노이즈가드 MVP 핵심 기능 설정
핵심 기능 | 포함 여부 | 이유 |
---|---|---|
AI 데시벨 측정 및 시각화 | ✅ 포함 | 가장 큰 니즈이자 문제 해결의 핵심 |
기준 비교 및 시각화 | ✅ 포함 | 피해 여부 인지를 위한 필수 요소 |
관리사무소 연락처 원터치 연결 | ✅ 포함 | 대응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실용 기능 |
녹음 저장 및 재생 | ✅ 포함 | 증거 기록 확보 |
새롭게 알게된 점:
꼭 모든 기능을 구현해야 MVP가 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검증만으로도 시장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음
어려웠던 부분:
아이디어가 많은 만큼 MVP 범위를 어디까지 좁혀야 할지 판단하기 어려웠음
해결 방법:
설문 데이터를 기준으로 가장 직접적이고 반복적으로 언급된 문제점 중심으로 기능을 선정. 우선순위를 정해 나머지는 후순위로 분류함
작업 내용:
우리 서비스(노이즈가드)의 MVP 범위 설정 및 기능 우선순위화
문서 링크(선택): 노션 링크
#구름톤유니브 #구름톤유니브_경기대 #기획 #PM #MVP #노이즈가드 #Flutter #Fire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