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만 개발할때는 몰랐다. 버튼에 hover 라는 처리가 있다는것을 앱을 개발할때는 사실 눌르면 눌림처리 혹은 페이지 전환이 다 였으니까.. 웹은 hover라는 영역이 존재하였다. 나는 hover를 구현하기 위해 TextButton을 사용하였다. (사실 hove
가끔 면접 질문중에 const 와 final의 차이를 아는지 물어보는 경우가 있다.그럴때마다 런타임,컴파일 타임혹은 값이 정해져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되서 빠르게 쓰거나...데이터를 요청해서 받아온 결과를 사용...이런식으로 대답하거나 이렇게 쓰는거지~ 라고 생각하면서
Flutter의 아키텍쳐 패턴 중 하나인 MVVM에 대해서 학습해보도록 하자.경력이 조금씩 쌓이니까 아키텍쳐 패턴 ,디자인 패턴의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는 것 같다.사실 알고 쓰기보다는 쓰다보고 나중에 보면 '이게 이런거지 않을까?~' 하는게 좀 더 많은 것 같다.디자인
관리자 채팅 페이지 제작을 위해 채팅서버를 알아보다..20년도에 적용하려다 실패한 rebbitMq를 해보려고 한다.그때는 WebFlux로 하려고 했지만 지금은 javaSpring이니... 자료도 많고 하기도 쉬어보인당.도커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localhost:808
Flutter 의 bloc 사용방법이 버전이 변경되면서 바뀌었다.기존에는 이런 방식으로 사용되었다면이제는요런 방식으로 바뀌었다.이제는 Stram이나 async\* 등의 기호를 쓰지 않아도 된당.이제는 Cubit등의 다른 역할등도 생겻는데.... 추후에 다뤄보도록 하자
Dart 에서의 Const 와 Final인터넷 자료로 이미 Const 와 Final의 차이는 널리 알려져 있다.간단한 예시로..윗줄은 컴파일 단계에서 값을 알 수 없으니 X아랫줄은 그 이후의 과정이므로 O라는 것이다.그치만.. 린트를 사용한다면 Class에 const를
모든 Go 프로그램은 패키지(package) 라고 불리는 일련의 파일 그룹을 통해 관리된다.Go의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http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패키지이다.이 디렉터리들은 .go 확장자를 가진 관련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다.모든 .go 파일들은 반드시 공백 및 주석을
defaultMatcher 타입의 값과 포인터는 이제 Matcher 타입의 값에 대입하거나 Matcher 타입의 값을 매개변수로 정의하는 함수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모든 코드 파일은 패키지에 속해야 하며 패키지 이름은 코드 파일이 존재하는 폴더의 이름과 동일해야한다.
Go In Action을 보다 보니까 함수 생성방법이 궁금해져서...작성해보았다.36p 에서 을 보았다.내가 알고 있는 함수와는 조금 다른 내용이였다..기본적으로 Go의 함수 생성 방법은func 키워드를 이용해 함수임을 선언하고func 함수 이름(변수 이름 변수 타입,
search.go 코드에서 사용한 RetrieveFeeds 함수의 구성 내용이다.json 패키지의 JSON 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os 패키지는 파일을 읽는 등의 운영체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패키지다.dataFile 이라는 이름의 상수를 선언하고
깃허브의 코드를 참고한다프로그램의 진입점은 main.go 코드 파일에 작성되어 있다.코드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모든 Go 프로그램은 두 가지 독특한 기능을 가진 실행 파일을 만들어낸다.이 부분을 통해서 메인 함수를 선언하며 프로그램의 진입점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ma
동시성 고루틴(goroutine)은 스레드와 유사하지만 더 적은 메모리를 소비하며 더 적은 양의 코드로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스레드에서 여러개의 고루틴을 실행할 수 있다. 고루틴의 오버헤드는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빈번하게 사용한다고 해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AWS 의 VPC가 무엇인지 검색해볼겸 공부해서 정리할겸 해서 만들어 보았다.Amazon Virtual Private Cloud(Amazon VPC)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가상 네트워크는 AWS의 확장 가능
Flutter Web 학습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Cache 삭제)https://developers.kakao.com/tool/clear/og카카오에서 캐시 삭제를 지원해주어서 이용하고 있다.해당 태그를 통해서 미리보기 등의 이미지를 바꾸어주었다.
도커 공부기록 3번째 이다.이전에는 배워도 사용해볼 기회가 없었지만..이제는 배워서 사용할 일이 생겨서 다시 공부를 시작 했다.소프웨어의 여러 모듈이 상호 작용하는 로직을 하나의 프로그램 내에서 구동시키는 방식여러 모듈이 독립된 형태로 구성하기 때문에 언어에 종속되지
개발팀에서 DevOps 라는걸 도입한다.나는 지금까지 Devops라는걸 들어만 봤지 사실 무슨내용인지 잘몰라서.. 이참에 공부해보려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_VEds_73Guc&t=104s 를 참고해서 정리해보았다.De
확장 함수는 단지 정적 메서드 호출에 대한 문법적인 편의일 뿐이다. 그래서 클래스가 아닌 더 구체적인 타입을 수신 객체 타입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그래서 문자열의컬렉션에 대해서만 호출할 수 있는 join 함수를 정의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이 함수를 객체의
코틀린 스터디 _2 의 기록 함수 정의와 호출 코틀린에서 컬렉션 만들기 숫자로 이뤄진 집합을 만들때는 위와 같은 식으로 만들 수 있다. 비슷한 방법으로 리스트와 맵도 만들 수 있다. 특이한 점은 Map 을 만들때의 to 는 특별한 키워드가 아니라 일반 함수라
Kotlin In Action 의 스터디를 참여한 공부 기록을 작성하도록 한다. Kotlin은 정적 타입 지정 언어이다. 코틀린은 자바와 마찬가지로 정적타입(Statically typed) 지정 언어 라고 한다. 자바가 무슨 타입인지는 몰랐으나 자바도 정적타입 이
flutter를 알게된건 2020년 05월...flutter를 알자마자 취업을 하게 되었고 지금까지 flutter 개발자로 살고 있다.처음에는 c그냥 단순히 앱개발이 하고싶어가지고..? 그냥 상황이 그렇게 되어서? flutter로 시작을 하게 되었다.지금생각하면 fl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