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ensity, Ohm's Law
이전까지는 어떤 근원전하(Source)에 의한 , , , , 에 대하여 봤다.
5 장에서는 가 형성되어 있는 매질 내에서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이동하는 이동전하와 전류의 형성에 대해 본다. 물론 정상상태(steady state)인 경우를 주로 봄
전류는 전도성 전류, 전해성 전류, 대류성 전류로 나뉘는데
전도성 전자 및 정공의 이동에 기인하는 전도성 전류()에 대해서 주로 본다.
전류는 시간에 따른 전하의 변화율이다.
여기서 로 볼 수 있으므로,
여기서 단위시간당 흐르는 물체의 체적인 체적유량을 생각해보면
전하량이 q인 한 가지 종류의 전하 캐리어가 의 속도를 가진다고 하면,
면에 수직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벡터 형식이 더 일반적이다.
벡터 점함수인 체적전류밀도/전류밀도를 정의한다.
로 정의한다.
이를 임의의 면적에 대해 적분하면 전체 전류 I는
만약 자유전하에 대해 볼 경우 이므로 이다.
(대류성 전류밀도)
대류성 전류밀도에 대한 것은 예제 5-1로 확인해본다.
그런데 지금 5장에서는 자유전하의 이동에 의한 전도성 전류에 집중하므로
- : Conduction Current(전도성 전류)
전도성 전류는 인가된 전기장에 의해 전하 캐리어가 정전기적 힘을 받아서 전하가 이동하고 전류를 형성하는 Drift current이다.
- (전하이동) 형성
다음과 같이 어떤 도체에 두 종류의 전하가 존재한다고 하자.
1) 전기장이 축 방향으로 가해지면
2) 전하는 로 음전하는 로 정전기력을 받아서
3) Drift하게 될 것이다. (방향 반대)
대부분의 도체에서 전기장의 세기와 평균 드리프트 속도는 비례한다.
이 비례 상수를 , 이동전하의 이동도라고 한다.
는 매질(재료)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이다.
전도성 전류밀도는 드리프트 이동을 하는 이동전하의 밀도와 속도의 곱의 합으로 구성된다.
,
이므로
이므로
전도성 매질에 의한 전류 방정식 or Point Form of Ohm's Law
여기서 를 전기전도도라고 한다.
풀어서 설명하면 전기전도도는 각 (전하캐리어의 밀도)(전기장에 의한 Drift속도)의 합으로 구성된다.
이 식이 성립하는 등방성 매질을 저항성 매질(Ohmic media)라고 함.
- 아주 간단한 예시를 통해 Point Form에서 균질 도체로 적용했더니 회로이론에서의 공식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