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퍼시터와 정전용량
- 캐퍼시터는 전자부품에 해당한다. 전자회로에서도 중요한 요소에 해당하는데, 전기를 일시적으로 담아두고 방출도 가능한 소자이다.
캐퍼시터 문제를 푸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방법 2인 전압을 먼저 가정하는 방법은 경계조건을 이용한 문제풀이로 4장에서 한다.

- Capacitance(정전용량)은 Q와 V에 무관한 시스템의 특성이다.
따라서 어떤 Q나 V를 고정시키고 이떄의 V나 Q를 측정하면 C를 구할 수 있다.

- 예제 3-17

캐퍼시터의 직렬 및 병렬 연결

줄서있는 평판의 해답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진다.
Csr1=C11+C21
- Cseries : 직렬에서 등가 정전용량
사실 회로이론을 수강해서 위의 식을 알고있었지만, 이런 이유인지는 모르고 그냥 암기했던 것 같은데 가려운 것을 긁은 기분이다.
Csr=C1+C2C1C2=1+C2C1C1
캐퍼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는 생각하기 쉽다.
외부 단자가 모두 캐퍼시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양단에 전하가 축적될 것이다.
- Q=Q1+Q2+⋯+Qn
이므로
- C∣∣=C1+C2+⋯+Cn
이다.
다중도체 시스템에서의 정전용량
- 그냥 넘어가려고 했지만 아주 간단하게만 다룸.

-
N개의 도체가 존재하는 시스템에서 어떤 도체에 존재하는 전하는 다른 도체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
V와 Q는 선형 관계에 있고 다음과 같은 선형 연립방정식을 만족시킨다.
-
도체만 존재한다고 했으므로 총 전하량은 0이다.
⎝⎜⎛Q1Q2Q3⎠⎟⎞=⎝⎜⎛c11c21c31c12c22c32c13c23c33⎠⎟⎞⎝⎜⎛V1V2V3⎠⎟⎞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한다. 간단하게 3개만 나타냄.
cij는 정전용량계수이고, 다른 모든 도체가 접지되어 있을 때의 전하와 전압의 비율이다.
내용이 더 있지만, 주목해야 할 점으로 뽑은 것은 도체들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서로 상호작용하여 복잡해 진다는 것이다.
정전기 차폐
- 도체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다.

다음과 같이 2번 도체껍질이 접지된 경우를 보면,
-
Q1=C10V1+C12V2+C13(V1−V3)
에서
-
V2=0으로 기준점을 잡을 수 있다.(Ground)
-
그런데 도체껍질내부 E=0이므로 내부에 전위차는 존재하지 않고 V1또한 0이다.
-
따라서 C13은 Q1=0이면 V3에 관계 없이 0이여야 한다.
결론 :따라서 C13은 Q1=0이면 V3에 관계 없이 0이여야 한다.
V3가 Q1에 영향을 못 미치고 도체1과 3은 서로 전기적으로 차폐되었다고 한다.
이해가 안될 경우 참고 그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