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장 3-9 정전기장의 경계조건

Kipabomb·2024년 8월 26일
0

Electromagnetism

목록 보기
9/17
post-thumbnail

3-9. 정전기장의 경계조건

서로 다른 매질에 대한 경계면에서 전기장에 대한 경계조건

  • 많은 전자부품에는 원하지 않더라도 경계면에는 전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계면 전하 (interface charge)라고 한다. ρit[C/m2]\rho_{it} [C/m^2]

  • 전자부품은 서로 다른 매질에 대한 적층구조를 이루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경계조건에 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 서로 다른 경계면에서의 ED\mathbf{E}와 \mathbf{D}에 대해 경계면에 수직인 성분과 수평인 성분에 대해 살펴봄.

전기전도도 σ1\sigma_1, σ2=0\sigma_2=0인 경우 즉, 완전한 유전체인 경우만 본다.

1. 전기장의 접선방향 성분에 대한 경계조건

  • 폐경로에 대해 전기장의 세기의 적분은 0이다.
    E(r)dL(r)=dV(r)=0[V]-\oint\mathbf{E}(\mathbf{r})\cdot d\mathbf{L}\mathbf(r)=\oint dV(\mathbf{r})=0 [V]
  • 밑의 사진은 책의 설명인데 솔직히 Δh0\Delta h\rightarrow 0 이라고 옆면들에 대한 적분값은 무시할 수 있다는 설명이 이해하기가 힘들다.

나에게 더 좋은 설명

  • 다음과 같은 경계면을 가지는 서로 다른 매질을 생각해보자. 각 매질에서 전기장의 방향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경계면에서 추가로 두 점을 할당하여 경로적분을 한다.
  • 결론: E1t=E2tE_{1t}=E_{2t} 이므로
    접선방향 전기장의 세기는 매질에 상관없이 변동없이 전달된다.



2. 전기장의 접선방향 성분에 대한 경계조건

  • Gauss's Law를 이용한다.
  • 결론: 계면에 전하가 없으면 수직 방향 성분이 전달 되는데 계면에 전하가 있으면, 전하만큼의 D\mathbf{D} 의 변화가 생긴다.

접선방향: 전기장의 세기 일정 (ρs\mathbf{\rho_s}에 무관)

    • 폐곡선에서 전위차는 일정하다는 것을 이용

법선방향: D1nD2n=ρsD_{1n}-D_{2n}=\mathbf{\rho_s}

    • Gaussian Surface를 적용
profile
열공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