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정전기장의 경계조건
서로 다른 매질에 대한 경계면에서 전기장에 대한 경계조건
많은 전자부품에는 원하지 않더라도 경계면에는 전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계면 전하 (interface charge)라고 한다.
전자부품은 서로 다른 매질에 대한 적층구조를 이루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경계조건에 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서로 다른 경계면에서의 에 대해 경계면에 수직인 성분과 수평인 성분에 대해 살펴봄.
전기전도도 , 인 경우 즉, 완전한 유전체인 경우만 본다.
1. 전기장의 접선방향 성분에 대한 경계조건
- 폐경로에 대해 전기장의 세기의 적분은 0이다.
나에게 더 좋은 설명
다음과 같은 경계면을 가지는 서로 다른 매질을 생각해보자. 각 매질에서 전기장의 방향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경계면에서 추가로 두 점을 할당하여 경로적분을 한다.
- 결론: 이므로
접선방향 전기장의 세기는 매질에 상관없이 변동없이 전달된다.
2. 전기장의 접선방향 성분에 대한 경계조건
- Gauss's Law를 이용한다.
- 결론: 계면에 전하가 없으면 수직 방향 성분이 전달 되는데 계면에 전하가 있으면, 전하만큼의 의 변화가 생긴다.
접선방향: 전기장의 세기 일정 (에 무관)
- 폐곡선에서 전위차는 일정하다는 것을 이용
법선방향:
- Gaussian Surface를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