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번도 고민하지 않고 만들었던 프로젝트 패키지 group명..사이드 프로젝트 시작하기에 앞서, 이거 그냥 org.example로 하는 게 맞는건가? 하는 의문이 들어서 찾아봤다보통은 회사의 도메인이 ~.com이면 → 반대로 해서 com.~ 이렇게 작성한다고 해서그냥
이거 도대체 무슨 차이지?해서 찾아본 블로그 글들..중 가장 참고가 된 글..intellij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시 Type에 Gradle - Groovy, Gradle - Kotlin 무얼 선택해야 할까?나중에 코프링 하게 되면 gradle-kotlin으로 하게
많이는 못 하고,,(JPA 등은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따로 포스트로 뺄 예정 - 노션에 전부 정리하고 일단~)그래서 어떻게 공부했냐 하면..? 공식 문서 들어가서 싹 긁어와서 챗지피티한테 번역 시켜서 질문 하는 식으로 했습니다..Spring Boot DevtoolsSp
프론트 경험이 꽤..(의도치않게) 있지만.. 이번에는 디자인이고 뭐고 일단.. 백부터 할거니까 띄워주기 용으로 간단히 세팅했다나는 일단 구글, 카카오, 네이버 로그인을 위한 홈화면과 로그인 버튼 정도만 간단히 구현했다.. 먼저 React 프로젝트의 파일 구조를 정의했다
https://velog.io/@coen/Intellij로-yml-파일-핸들링-빌드-배포하기-1탄-.yml-파일-핸들링-편https://popcorn-overflow.tistory.com/17docker-compose.yml 파일세팅까지 몇시간이 걸릴
사용자의 신원을 입증하는 과정즉, 누구인지 확인하는 과정사이트의 특정 부분에 접근할 수 있는지 권한을 확인하는 작업CSRF 공격, 세션 고정(session fixation)공격을 방어해줌요청헤더 또한 보안 처리 → 개발자의 보안 부담을 줄여준다내용이 너무 많고 이미지
존댓말한다? 그러면 아마 공부한 거 번역해놓은 자료이다.. 밑에 내려가면 내가 작성한 코드들이..주루룩..Spring Security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Spring Boot와 함께 Spring
JWT를 사용한 토큰 기반 인증기존의 세션 기반 인증과는 다르게, 무상태성을 유지하면서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토큰 기반 인증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간단히 정리함.클라이언트가 로그인 요청을 보냄.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자격 증명을 확인하고 인증해줌.서버는 클라이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CookiesA cookie (also known as a web cookie or browser cookie) is a small piece of data a se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