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elog.io/@coen/Intellij로-yml-파일-핸들링-빌드-배포하기-1탄-.yml-파일-핸들링-편
https://popcorn-overflow.tistory.com/17
docker-compose.yml 파일세팅까지 몇시간이 걸릴줄은..
배포를 하기 전 편하게 하려고..
settings.env
(루트 디렉토리에 세팅)
MYSQL_DATABASE={db이름}
MYSQL_ROOT_PASSWORD={mysql비밀번호}
SPRING_DATASOURCE_USERNAME={db 유저 네임}
SPRING_DATASOURCE_PASSWORD={db 비번 - 이거 삭제해도 됨..}
MY_DATA_SOURCE=jdbc:mysql://localhost:3306/{db이름}
MY_JWT_ISSUER={내 이메일}
MY_JWT_SECRET_KEY={알아서 세팅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러고 나서 저걸 environment variables에 추가해주고,
그러고 나서 docker-compose.yml 파일 세팅
services:
mysql:
image: mysql:8.0
container_name: first-side-project-mysql
ports:
- "3306:3306"
environment:
- MYSQL_ROOT_PASSWORD=${MYSQL_ROOT_PASSWORD}
- MYSQL_DATABASE=${MYSQL_DATABASE}
- TZ=Asia/Seoul
volumes:
- ./data/mysql-data:/var/lib/mysql
- ./data/mysql-files:/var/lib/mysql-files
command:
- --character-set-server=utf8mb4
- --collation-server=utf8mb4_unicode_ci
- --lower_case_table_names=1
귣!
그 후 -dev, -prod, -staging 각각의 yml파일 핸들링
이렇게 복잡하게 한 이유??
→ 현업에서 이렇게 보통 한다고 함.. 그리고 찾아보다 보니 편해보임!
application-dev.yml → 개발환경
application-staging.yml → 테스트환경
application-prod.yml → 운영서버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