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코드는 프로그래밍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테스트 코드에는 크게 유닛 테스트, 기능 테스트, 통합 테스트 3가지로 나뉜다. 오늘은 테스트 단위 중에 가장 작은 유닛 테스트를 알아보고자 한다.
테스트 코드를 짜기 쉬운 코드는 좋은 코드이다. 라는 말도 있다. 테스트 코드를 짜기 쉽다는 것은 그만큼 구조적으로 잘 짜인 코드라는 뜻이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함으로 버그를 줄이고 신뢰성이 증가한다. 리팩토링을하더라도 테스트 코드를 작동시켜 기존과 같은 동작을 하는지 알 수 있고, 코드 작성자의 의도 또한 알 수 있다.
Jest는 코드가 동작하는지 Test Case를 통해 확인하기 위한 테스팅 프레임워크 이다.
Jest는 Nest.js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Api를 만들면 해당 폴더 안에.spec.ts
가 붙은 파일이 같이 생성되는데 해당 파일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파일이다.
// app.controller.spec.ts
import { Test, TestingModule } from '@nestjs/testing';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describe('AppController', () => {
let appController: AppController;
beforeEach(async () => {
const app: TestingModule = await Test.createTestingModule({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compile();
appController = app.get<AppController>(AppController);
});
describe('root', () => {
it('should return "Hello World!"', () => {
expect(appController.getHello()).toBe('Hello World!');
});
});
});
describe()
는 테스트의 단위를 묶어 주며, 묶은 단위의 설명을 기재해 준다. describe()
안에 describe()
를 작성할 수도 있다.
beforeEach()
와 afterEach()
는 각각의 Test Case를 실행하기 전, 후에 작동하는 코드이다. Test Case가 3개가 있으면 beforeEach()
와 afterEach()
는 각각 3번씩 실행될 것이다.
조금 다른 역할을 하는 함수로 beforeAll()
과 afterAll()
이 있다. 두 함수는 해당 파일에서 테스트가 시작하기 전 한 번, 모든 테스트가 끝난 뒤 한번 실행되는 함수이다. Test Case마다 작동이 필요한 코드가 아닌 경우에는 beforeAll()
과 afterAll()
을 사용하는 게 효율적이다.
it()
는 test()
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둘 중 어떤 함수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describe()
로 묶은 단위에 테스트를 실행하는 함수이다.
expect()
는 Test Case의 실행 결과가 내가 원하는 값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함수이다. toBe()
메서드는 평문을 비교할 때 사용하고, toEqual()
은 객체와 같은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Mocking은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익숙한 개념이지만, 신입 백엔드개발자들 중에서는 처음 접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Mock의 사전적 의미는 '가짜'이다 Mocking은 함수의 실행 결괏값을 내가 지정한 값으로 대체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백엔드의 비즈니스로직은 데이터베이스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그렇기에 Service 레이어를 테스트를 하기 위해선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을 해야 하는데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Mocking을 사용하면, Service 레이어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지 않고, 개발자가 지정해준 값을 바탕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어, 좀 더 독립적인 Test Case가 완성된다.
Jest에는 가짜함수를 새로 생성하는 jest.fn()
과 기존 함수의 작동은 유지하되 해당 함수의 결괏값을 가짜로 대체해주는 jest.spyOn()
이 있다.
두 가지 다 가짜값을 반환하고자 하는 목적은 같지만, jest.spyOn()
은 가짜 값을 생성하지 않으며, 해당 함수가 특정인자로 호출되었는지 알아내는 등의 작업도 가능하다.
// user.service.spec.ts
const mockUserRepository = () => ({
findOneBy: jest.fn(),
create: jest.fn(),
save: jest.fn(),
});
type MockRepository<T = any> = Partial<Record<keyof Repository<T>, jest.Mock>>;
describe('UserService', () => {
let userService: UserService;
let jwtService: JwtService;
let userRepository: MockRepository<UserEntity>;
beforeAll(async () => {
const module: TestingModule = await Test.createTestingModule({
providers: [UserService,
{
provide: getRepositoryToken(UserEntity),
useValue: mockUserRepository(),
}]}).compile();
userService = module.get<UserService>(UserService);
jwtService = module.get<JwtService>(JwtService);
userRepository = module.get<MockRepository<UserEntity>>(
getRepositoryToken(UserEntity));
});
describe('createUser', () => {
const createUserInput: CreateUpdateUserDto = {
name: '기석',
email: 'kkk@gmail.com',
password: 'Qwer1234!@',
};
const createUser = UserEntity.of({
...createUserInput
});
const userInfo = UserEntity.of({
id: 1,
...createUser,
deleted_at: null,
});
it('유저 생성에 성공 시 유저 정보를 반환한다.', async () => {
const userRepositoryFindOneSpy = jest
.spyOn(userRepository, 'findOneBy')
.mockResolvedValue(undefined);
const userRepositoryCreateSpy = jest
.spyOn(userRepository, 'create')
.mockResolvedValue(createUser);
const userRepositorySaveSpy = jest
.spyOn(userRepository, 'save')
.mockResolvedValue(userInfo);
const result = await userService.createUser(createUserInput);
expect(result).toEqual(userInfo);
});
it('존재하는 유저를 생성 요청 시 유저가 존재하다는 예외를 던진다.', async () => {
const userRepositoryFindOneSpy = jest
.spyOn(userRepository, 'findOneBy')
.mockResolvedValue(userInfo);
const result = async () => {
await userService.createUser(createUserInput);
};
expect(result).rejects.toThrowError(
new HttpException('User already exists', HttpStatus.CONFLICT),
);
});
});
});
// user.service.ts
@Injectable()
export class UserService {
constructor(
@InjectRepository(UserEntity)
private readonly userRepository: Repository<UserEntity>) {}
async createUser(args: CreateUpdateUserDto): Promise<UserEntity> {
const { email } = args;
const user = await this.userRepository.findOneBy({ email });
if (user && !user.deleted_at)
throw new HttpException('User already exists', HttpStatus.CONFLICT);
if (user && user.deleted_at) {
user.deleted_at = null;
return await this.userRepository.save(user);
}
const userEntity = this.userRepository.create(args);
return await this.userRepository.save(userEntity);
}
}
위 코드는 userService의 회원가입에 대한 Test Case와 Service 레이어에 대한 코드이다.
mockUserRepository를 만들고 Test Case에 사용할 메서드 들을 jest.fn()
을 이용해 선언해 준다. 그후,모듈에서 해당 Repository를 주입한다.
이제 createUser
함수를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값, 각 메서드 들의 리턴값과 최종값을 선언해 준뒤, mocking을 통해 각 Repository의 반환 값을 지정해 준다.
반환 값 지정이 끝나면 변수에 함수의 결괏값을 담은 뒤, .toEqual()
을 이용해 내가 원하는 값과 비교를 한다.
예외 처리의 경우 .rejects.toThrowError()
를 이용해 예외값을 비교한다.
예외 처리를 진행할 경우 expect()
함수 안에서 실행시켜야 한다. expect()
함수 밖에서 실행될 경우 예외 처리로 진행되어 다음 코드로 진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단의 예시 코드에는 result를 함수로 만들어 expect()
함수 안에서 실행시켜 주었다.
describe('UserService', () => {
let userService: UserService;
let jwtService: JwtService;
let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beforeAll(async () => {
const module: TestingModule = await Test.createTestingModule({
providers: [UserService,UserRepository]
}).compile();
userService = module.get<UserService>(UserService);
jwtService = module.get<JwtService>(JwtService);
userRepository = module.get<UserRepository>(UserRepository));
})
jest.fn()
을 사용하면 함수가 실제로 작동하는 게 아닌 가짜 함수만 실행된다. 그렇기에 예상치 못한 에러를 지나치게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jest.fn()
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Repository의 메서드를 사용하되, spyOn()
으로 각 함수의 실행 결괏값만 Mocking 해 사용하면 메서드의 필요 조건도 만족하는 Test Case를 작성할 수 있다.
jest.fn()을 사용한 Test Code
jest.fn()을 사용하지 않은 Test Code
const mockFn = jest.fn(scalar => 42 + scalar);
mockFn(0); // 42
mockFn(1); // 43
결괏값을 Mocking 하는게 아닌 직접 가짜 함수를 만들어 준다.
const mockFn = jest
.fn()
.mockImplementationOnce(cb => cb(null, true))
.mockImplementationOnce(cb => cb(null, false));
mockFn((err, val) => console.log(val)); // true
mockFn((err, val) => console.log(val)); // false
하나의 함수에 한 번 호출의 결과를 만들어 준다. 위 예시는 2개의 결괏값을 만들어 2번의 호출이 각각 다른 값을 출력했다.
const mock = jest.fn();
mock.mockReturnValue(42);
mock(); // 42
mock.mockReturnValue(43);
mock(); // 43
동기 함수가 호출될 때 반환 값을 지정해 준다.
const mockFn = jest
.fn()
.mockReturnValue('default')
.mockReturnValueOnce('first call')
.mockReturnValueOnce('second call');
mockFn(); // 'first call'
mockFn(); // 'second call'
mockFn(); // 'default'
mockFn(); // 'default'
동기 함수에 한 번의 호출 당 반환 값을 지정해 준다. mockReturnValueOnce
를 선언한 횟수 보다 많은 횟수를 호출할 경우 mockReturnValue
값을 반환한다.
test('async test', async () => {
const asyncMock = jest.fn().mockResolvedValue(43);
await asyncMock(); // 43
});
비동기 함수가 호출될 때 반환 값을 지정해 준다. mockReturnValue
와 다른 점은 동기 함수인가, 비동기 함수인가의 차이이다.
test('async test', async () => {
const asyncMock = jest
.fn()
.mockResolvedValue('default')
.mockResolvedValueOnce('first call')
.mockResolvedValueOnce('second call');
await asyncMock(); // 'first call'
await asyncMock(); // 'second call'
await asyncMock(); // 'default'
await asyncMock(); // 'default'
});
비동기 함수에 한 번의 호출 당 반환 값을 지정해 준다. mockResolvedValueOnce
를 선언한 횟수보다 많은 횟수를 호출할 경우 MockResolvedValue
값을 반환한다.
더 많은 Mocking Method가 있지만 자주 사용하는 것 위주로 정리해 보았다. 더 많은 자료를 찾고 싶으면 JestMockFunction 을 참고
Matcher는 테스트의 결괏값을 매칭하거나, 특정 함수가 내가 설정한 인자로 작동했는지, 예외 처리와 함수 실행 횟수 등을 체크해 정확히 일치할 경우에만 Test Case가 통과된다.
const human = {
name: '기석',
age: 28,
};
describe('human age', () => {
test('age is 28', () => {
expect(human.age).toBe(28);
});
test('he is name 기석', () => {
expect(human.name).toBe('기석');
});
});
객체의 인스턴스 값 또는 원시값을 비교한다. 소수점의 경우 비교가 불가능하다(Js 에서 소수점 계산은 결괏값이 다르다)
const human1 = {
name: '기석',
age: 28,
};
const human2 = {
name: '기석',
age: 28,
};
describe('두명의 사람이 있다.', () => {
test('두 사람은 이름과 나이가 같은가', () => {
expect(can1).toEqual(can2);
});
});
객체의 인스턴스의 모든 속성을 재귀적으로 비교한다. 원시값을 비교하는 toBe()
와는 다르게 동작한다.
it('존재하는 유저를 생성 요청 시 유저가 존재하다는 예외를 던진다.', async () => {
const result = async () => {
await userService.createUser(createUserInput);
};
expect(result).rejects.toThrowError(
new HttpException('User already exists', HttpStatus.CONFLICT),
);
});
Test 실행 중 예외를 던졌는지 확인한다. 예외를 던지면 더 이상 코드 실행이 되지 않기 때문에 expect()
함수 안에서 실행시켜야 한다.
test('각자 다른 음료수의 갯수', () => {
const drink = jest.fn();
drinkEach(drink, ['lemon', 'octopus']);
expect(drink).toHaveBeenCalledTimes(2);
});
해당 함수가 호출된 횟수를 확인해 비교한다.
test('registration applies correctly to orange La Croix', () => {
const beverage = new LaCroix('orange');
register(beverage);
const f = jest.fn();
applyToAll(f);
expect(f).toHaveBeenCalledWith(beverage);
});
해당 함수가 호출될 때 사용된 인자를 확인해 비교한다.
오늘은 Test 기법의 하나인 Unit Test를 알아보았다. TDD(테스트 주도 개발)이란 것이 존재 하기도 하며. CI/CD의 프로세스 중 하나가 Test Case를 실행 시킨 후 배포가 진행되기 때문에 올바른 테스트코드는 중요하다.
오늘 Unit Test를 배우며 이 점을 더욱 느끼게 되었고, 다음엔 E2E(기능 테스트)를 배워 보려고 하며, 기회가 된다면 TDD또한 접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