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과 이번 주에 걸쳐서 학습한 테스팅에 대한 부분을 요약했습니다.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개념을 살펴보고, 테스트 도구와 기법도 정리했습니다.
두번째 React 추가 강의를 수강한 뒤 요약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SR과 CSR, 그리고 SPA의 개념에 대해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Next.js 개발 환경에 대한 이해도 다시 복습했습니다.
저번 주와 이번주에 걸쳐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다만 Redux와 Context API 위주로 실습을 진행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MobX의 개념과 사용법에 대해 따라 살펴보았습니다.
진상현 강사님의 수업에서 실습을 통해 Context API에 대해 복습했습니다. Context API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언급만 하고 넘어간 것 같아 독립된 포스팅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저번 글에서는 Next.js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고, 오늘은 Next.js로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부분을 정리했습니다.
Git 특강을 진행하셨던 최원영 강사님께서 다시 한번 수업을 해주셨습니다. 이번 강의는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여러 실무 지식들을 알려주셨습니다.
오늘 교육 과정 중에는 React 발표회가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발표 중심의 저번 주와는 다르게, 매니저님께서 실습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는 식이었습니다. Redux를 활용하여 로그인 페이지를 구현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기록으로 남겨보았습니다.
드디어 관심을 가지고 있던 GraphQL 부분에 대한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앞으로 GraphQL을 활용한 프로젝트도 직접 구성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어 최대한 꼼꼼하게 학습해보려고 했습니다.해당 포스팅은 6월 초에 예정된 React 심화 강의 후에 보충할 계획입니다.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 정리글에서도 다양한 React 라이브러리들에 대해 학습 내용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드디어 React와 사용되는 다양한 라이브러리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시간과 관련된 라이브러리와 스타일링 라이브러리를 요약했습니다.
오늘까지 예정되어 있던 React 강의를 어제부로 완료했습니다. 오늘은 리액트로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필요한 사전 설정들을 개인적으로 공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늘은 공식 문서를 바탕으로 한 React 심화 과정을 끝냈습니다. 마무리하면서, 기존에 충분히 다루지 못했거나 추가 학습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도 추가하여 정리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오늘 교육 과정은 그동안 낯설었던 개념이 많았습니다. Memoization이나 portal 같은 개념들은 개인적인 React 프로젝트를 통해서 연습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4일차에도 저번 시간에 이어, React 공식 문서를 바탕으로 React 심화 개념을 학습해보았습니다.
프로젝트 후 첫번째로 수강한 강의입니다. 이번 파트에서는 React 공식 문서를 기반으로 기존에 다루지 않은 리액트 심화 개념들을 정리했습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은 React 심화 개념에 다루어 보았습니다. 이재원 매니저님의 React 특강을 통해 기초 개념을 다시 복습하면서 진행했습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온라인 강의로만 일정을 진행했습니다. 강의 주제가 여러 개인 만큼, 17일차 학습 내용은 여러 게시물로 나누어서 정리할 계획입니다.첫 번째 글은 Webpack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오늘 정리 내용은 타입스크립트 심화편입니다. 컴파일부터 인터페이스, 클래스 문법까지를 커버했습니다.해당 정리글은 교육 과정 중 학습한 내용과 제가 개인적으로 요약한 타입스크립트 이론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