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한눈에 파악 가능=> 7단계 중 특정한 곳에서 문제가 생기면 그 단계만 해결Ex1) 회사에서 모든 PC가 안될 경우=> SKT/KT/LG 회선 문제 (1계층: 물리계층)=> 라우터 문제 (3계층
API 는 프로그램들(웹브라우저 ↔ 웹서버)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매개체API 역할 1\.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출입구 역할을 2\.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원활하게 통신 가능 3\. 모든 접속을 표준화 클라이언트서비스를 요청하고 받는 쪽 (고
Spring Boot 기초블로그 만들기 개인과제 (게시글 CRUD)JPA3계층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DI(Dependency Injection) 스프링이 다른 프레임워크와 차별화되어 제공하는 의존 관계 주입 기능으로,객체를 직접 생
스프링 서버에 필요한 인증 및 인가를 위해 많은 기능을 제공함 (편의 제공)'스프링 시큐리티' 프레임워크 추가 (build.gradle -> dependencies 추가 -> gradle 새로고침)'스프링 시큐리티' 활성화default 로그인 기능 ('서버주소/logi
인증 (Authentication):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는 행위인가 (Authorization): 사용자 권한을 확인하는 행위인증: 회사 출입을 위한 출입증 확인 혹은 생체정보 (지문, 홍채) 인식인가: 회사 건물 내 접근 권한 관리방문자 → 회의실만 접근 가능직원
코드 개발 시, 개발자가 특정한 라이브러리나 컨테이너의 기술에 종속되지 않음을 의미Java 코드로 객체지향적 설계 구현높은 생산성과 유연한 테스트 가능메소드나 객체(bean)의 호출 작업은 제어의 역전을 통해 외부에서 이루어짐제어의 역행을 전제조건으로 의존성 주입이 일
개인: 웹 사이트마다 회원가입 과정, 아이디/비밀번호 기억하기 힘듦회사: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지켜야하는 역할 부담 => OAuth를 사용한 소셜 로그인 등장 모든 권한을 넘기지 않고 사용자 대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HTTP 기반의 보안 프로토콜서비스 제공자
웹의 인증 및 인가 인증 (Authentication):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는 행위 로그인을 통해 본인임을 확인 (주로, 아이디와 패스워드 이용) 회사 출입을 위한 출입증 확인 혹은 생체정보 (지문, 홍채) 인식 인가 (Authorization): 사용자
MVC (Model - View - Controller) 디자인 패턴Server 에서 HTML 을 내려 주는 경우정적 (static) 웹 페이지ControllerClient 의 요청을 Model 로 받아 처리Client 에게 View (정적 웹 페이지, HTML) 를
Spring Boot 기초블로그 만들기 개인과제 (게시글 CRUD)JPA3계층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Spring Boot 사용하는 법이 적응이 잘 안됨 => 계속해서 복습하면서 흐름을 잡는 중3계층 (Controller, Servi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한눈에 파악 가능=> 7단계 중 특정한 곳에서 문제가 생기면 그 단계만 해결Ex1) 회사에서 모든 PC가 안될 경우=> SKT/KT/LG 회선 문제 (1계층: 물리계층)=> 라우터 문제 (3계층
스프링 부트 강의 (김영한)알고리즘 (백준 10869번, 2588번)CS 개념 (OSI 7계층)Spring 3계층 흐름
화면 그대로 그려줌실행: http://localhost:8080/hello-static.htmlMVC: Model, View, Controller실행: http://localhost:8080/hello-mvc?name=springController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