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표준, 웹 접근성, 웹 호환성

jwww·2023년 2월 20일
0

퍼블리싱 개념정리

목록 보기
1/11

1. 웹 표준 (Web Standards)

1.1 웹 표준이란?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
국제 표준화 단체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가 권고한 표준안을 지켜 웹사이트를 제작하는 것이며 어떠한 운영체제나 웹브라우저 상에서도 비교적 동일한 디자인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1.2 장점

  • 수정 및 운영관리가 용이
  • 웹 접근성 향상
  • 검색엔진 최적화
  • 호환성 확보

1.3 웹표준 예시

  • W3C 권장 표준 DTD 사용
  • HTML 문법 오류가 페이지 별 평균 99개 이하
  • 논리적이고 의미에 맞는 HTML 마크업 및 CSS 레이아웃 사용
  •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키보드만으로 대부분의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음
  • 최신 버전의 디바이스, 브라우저에서도 콘텐츠 호환성 유지
  • 부가 애플리케이션(ActiveX, Flash 등)이 존재하더라도 핵심 기능 사용에 지장이 없음

DTD란?
DTD(Document Type Definition)는 문서 형식을 자정하는 것으로,
브라우저에게 해당 문서가 어떤 표준을 따른 것인지 알려준다.,
브라우저 랜더링 모드를 지정해주고 유효성 검증기의 기준이 된다.
(X)HTML 문서 상단에 선언해주어야한다.

/* HTML5의 doctype을 적용 */
<!DOCTYPE html>		

2. 웹접근성 (Web Accessibility)

2.1 웹접근성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 모든 사용자가 어떠한 환경에서도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장하는 것.

2.2 장점

  • 정보접근 취약계층에 정보제공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함으로써 사용자층 확대
  • 규정 & 법적 요구 준수
  • 기업 이미지 향상

2.3 사용자 유형별 접근성 대책

  • 전맹 > 스크린리더를 사용한다.
  • 저시력 > 화면 확대가 가능하도록한다.
  • 색맹 > 웹페이지가 색상에 의존적이지 않도록한다.
  • 청각장애 > 수화, 시각 정보를 제공한다.
  • 지체장애 > 키보드만 사용할 수 있도록한다.
  • 언어장애 > 쉬운 용어를 사용한다.

3. 웹 호환성 (Cross Browsing)

3.1 웹호환성이란?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 웹표준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

웹표준을 준수하여 특정 운영체제, 브라우저에만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이다.

3.2 장점

  •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
  • 기기
  • 사용자층 확대

4. 웹표준 vs 웹 접근성 vs 웹 호환성

웹 호환성은 OS, SW에 독립적인 상호운용성 확보를 우선시하고 웹접근성은 보편적 접근성 확보를 우선시한다.

기대효과가 유사하지만 대상 및 종류 등 준수 내용과 편의를 제공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웹 표준: 웹에서 사용되는 기술 표준.
  • 웹 접근성: 웹표준을 포함하며 인적, 환경적 요인에 제약 없이 웹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보편적 접근성 확보를 우선시한다.
  • 웹 호환성: 웹표준을 포함하며 웹 브라우저 버전, 종류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적인 상호운용성 확보를 우선시한다.
profile
퍼블리셔 공부 블로그 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