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국제 표준화 단체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가 권고한 표준안을 지켜 웹사이트를 제작하는 것이며 어떠한 운영체제나 웹브라우저 상에서도 비교적 동일한 디자인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수정 및 운
HTML에서 doctype은 모든 문서의 최상단에서 찾을 수 있는 필수 서문이다.document type의 약어로,웹 문서가 어떤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 문서 형식을 선언하는 것이다.웹 브라우저는 문서 형식 선언이 없으면 쿼크 모드로 렌더링 해서 각 브라우저마다 다른 형
<h1-6> : heading 제목 표시.<p> : paragraph 단락 만들기.<span> : 영역묶기.<br> : breake line 줄 바꾸기.<hr> : horizontal line 수평 줄 넣기.<blockquote> :
HTML을 배우게 되면 초반에 접하게 되는 것이 시멘틱 태그인데 "시멘틱태그를 써야한다!"는 이야기는 너무나도 많이 들어봤지만, 정작 왜 사용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 같아 다시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한다.의미론적 태그.HTML 구조를 구성하는데 있어 태그에 의미를
HTML을 작성할 때 ` 안에는 항상 ` 가 들어간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이 태그가 왜 들어가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알지못하고 지나가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 태그란? 해당 문서에 대한 정보, 메타데이터를 정의할 때 사용되며 웹
말 그대로 요소를 선택하게 만들어주는 것.CSS는 HTML 요소들의 스타일을 정의한다. 스타일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스타일을 정의할 요소를 선택해야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것이 선택자(Selector)이다.위의 이미지에서 h1이 선택자고 괄호 안의 속성(property 혹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HTML 입력폼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폼 데이터를 서버로 보낼 때, 해당 데이터가 도착할 URL을 명시한다. URL폼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될 때 사용되는 HTTP 메서드를 명시한다. get | post GET 방식은 URL에 폼 데이터를
지원 브라우저 (2023. 09. 09 기준)사용자가 지정한 레이어의 순서에 따라 CSS의 우선순위가 정해진다.(뒤에 배치할수록 우선순위 높음)기존에 프레임워크 CSS와 커스텀 CSS를 함께 사용할 때 우선순위 때문에 내가 적용하고 싶은 스타일링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BEM은 CSS 제작 방법론으로 일종의 네이밍 컨벤션이다.Block(블록), Element(요소), Modifier(수정자)의 약자로, 목적에 따라 네이밍 하는 것이 특징이다.UI를 독립된 블록으로 분리함으로써 복잡한 페이지에서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개발을 수행하는 것이
flex는 행과 열 형태로 배치하는 일차원 레이아웃 배치 속성이다.기존에 사용하던 float이나 inline-block을 활용해서 레이아웃을 만드는 것보다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한다.flex 레이아웃은 flex container라고 불리는 부모요소와 flex item이라
box-sizing은 박스의 크기를 어떻게 계산할지 정하는 css 속성이다. width, height 속성의 대상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HTML에서 모든 요소들은 box 모양으로 구성되며, box model은 HTML 요소가 웹페이지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정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