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DD(Behavior-Driven Development)는 애플리케이션의 "행동(Behavior)"에 초점을 맞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TDD(Test-Driven Development)에서 발전된 방식입니다. BDD는 개발자와 비개발자(예: 기획자, 디자이너, QA) 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하며,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코드로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행동 중심:
공통 언어 사용:
Given-When-Then
형식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Given-When-Then 패턴:
예시:
Feature: 로그인 기능
Scenario: 유효한 사용자로 로그인
Given 사용자가 로그인 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When 사용자가 올바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Then 사용자는 메인 페이지로 이동한다
비즈니스 목표를 중심으로 개발:
명확한 요구사항 정의:
자동화된 테스트 중심 개발:
특징 | TDD | BDD |
---|---|---|
초점 | 기능 단위 테스트(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 사용자 행동 및 비즈니스 요구사항 |
언어 | 개발자 중심(코드에 가까운 표현) | 비즈니스 중심(자연어 기반 표현) |
테스트 작성 시점 | 테스트 코드 작성 후 구현 | 시나리오 작성 후 테스트 및 구현 |
참여자 | 주로 개발자 | 개발자, 기획자, QA 등 모두 참여 |
비즈니스 요구사항 도출:
시나리오 작성:
테스트 자동화:
코드 구현:
반복:
명확한 요구사항 정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비즈니스 중심의 개발:
자동화된 테스트:
Cucumber:
@Given("사용자가 로그인 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public void 사용자_로그인_페이지_접속() {
// Given 조건 설정
}
@When("사용자가 올바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public void 사용자_로그인_시도() {
// When 행동 정의
}
@Then("사용자는 메인 페이지로 이동한다")
public void 메인_페이지_이동() {
// Then 결과 검증
}
JBehave:
BDD는 비즈니스와 개발 간의 갭을 줄이는 데 유용한 도구로, 특히 팀원 간 협업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입니다.
추가 학습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