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D는 테스트 코드 작성을 중심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진행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입니다.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고, 해당 테스트를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한다"는 철학에 기반합니다.
TDD는 Red-Green-Refactor 사이클로 구성됩니다:
Red (실패하는 테스트 작성)
Green (테스트 통과)
Refactor (리팩터링)
안정적인 코드 베이스
빠른 피드백 제공
설계 품질 향상
버그 예방
리팩터링 용이
초기 개발 속도 저하
테스트 코드 관리 부담
모든 경우를 테스트하기 어려움
추상적 요구사항에 대한 테스트 어려움
특징 | TDD (Test-Driven Development) | BDD (Behavior-Driven Development) |
---|---|---|
초점 | 코드와 기능의 동작 검증 | 사용자 행동(Behavior) 검증 |
테스트 작성 방식 | 주로 JUnit, TestNG 등 단위 테스트 도구 사용 | Cucumber, Spock 등 Behavior 도구 사용 |
언어 | 개발자가 이해하기 쉬운 코드 중심의 테스트 작성 | 비즈니스 이해관계자도 이해할 수 있는 시나리오 작성 |
출발점 | 메서드, 클래스와 같은 기술적 요소 | 요구사항과 사용자 스토리 중심 |
숫자를 입력받아, 짝수일 경우 true
, 홀수일 경우 false
를 반환하는 메서드를 작성합니다.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True;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False;
public class NumberUtilsTest {
@Test
public void testIsEven() {
assertTrue(NumberUtils.isEven(2)); // 짝수 -> true
assertFalse(NumberUtils.isEven(3)); // 홀수 -> false
}
}
public class NumberUtils {
public static boolean isEven(int number) {
return number % 2 == 0;
}
}
현재는 리팩터링 필요성이 없으므로, 상태 유지.
작은 단위로 시작
자동화 테스트 환경 구축
적극적인 코드 리뷰
팀의 합의
TDD는 테스트 우선 개발 방법론으로, 코드의 품질을 높이고 유지보수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Red-Green-Refactor" 사이클을 통해 코드를 점진적으로 완성하며, 올바른 설계를 유도합니다.
초기 학습 비용과 시간 투자가 필요하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