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태그란 <body>
, <section>
, <h1>
...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되는데
HTML 요소(element)라고도 부르며, HTML 문서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body>
<h1>마크업 예시</h1>
<section>
<h2>중제목</h2>
<article>
<h3>소제목</h3>
<p>문단</p>
</article>
</section>
</body>
</html>
마크다운(markdown)은 일반 텍스트 문서의 양식을 편집하는 문법이다.
README 파일이나 온라인 문서, 혹은 일반 텍스트 편집기로 문서 양식을 편집할 때 쓰인다.
마크다운을 이용해 작성된 문서는 쉽게 HTML 등 다른 문서형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위키백과
즉 위에 보이는 마크업 언어처럼 태그로 감싸는 형식이 아닌 몇가지의 기호들로 작성하게 됩니다.
간단한 예시로 인스타그램 언급 시스템이 있죠.
'@ID'으로 친구를 언급하는 방법도 마크다운 문법 중 하나입니다.
Markdown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언어로 2004년 존그루버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쉽게 쓰고 읽을 수 있으며 HTML로 변환이 가능하다. 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문법을 사용하여 웹에서도 보다 빠르게 컨텐츠를 작성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마크다운이 최근 각광받기 시작한 이유는 깃헙(https://github.com) 덕분이다. 깃헙의 저장소Repository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README.md는 깃헙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마크다운 문서였다. 마크다운을 통해서 설치방법, 소스코드 설명, 이슈 등을 간단하게 기록하고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는 강점이 부각되면서 점점 여러 곳으로 퍼져가게 된다.
-참고링크
👇 아래 예제는 Naver SmartEditor의 readme.md 파일의 일부입니다.
# SmartEditor2
## Overview
SmartEdtitor™ 는 JavaScript로 구현된 웹 기반의 WYSIWYG 편집기입니다.
WYSIWYG 모드 및 HTML 편집 모드와 TEXT 모드를 제공하고, 자유로운 폰트 크기 설정 기능, 줄 간격 설정 기능, 단어 찾기/바꾸기 기능 등 편집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들은 SmartEdtitor™를 사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형태의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SmartEdtitor™의 구조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플러그인 구조로 되어 있어 정해진 규칙에 따라 플러그인을 만들기만 하면 됩니다.
## User Guide
사용자 가이드에서는 SmartEditor2 의 특징과 기능을 소개합니다.
또한, 설치 방법과 기능의 추가/삭제 방법도 알 수 있습니다.
* [사용자 가이드](http://naver.github.io/smarteditor2/user_guide/)
## Demo
아래 데모페이지 에서는 SmartEditor2.0 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바로 체험해 볼 수 있습니다.
* [SmartEditor2 Demo 바로가기](http://naver.github.io/smarteditor2/demo/)
👇 이곳에서 마크다운 문법을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 https://pandao.github.io/editor.md/en.html
# Heading 1
## Heading 2
### Heading 3
#### Heading 4
##### Heading 5
###### Heading 6
// Underline Header
H1 Header
=============
H2 Header
-------------
💻 결과
Heading 1
Heading 2
Heading 3
Heading 4
Heading 5
Heading 6
H1 Header
H2 Header
*이탤릭체*, _이탤릭체_
**볼드체**, __볼드체__
~~취소선~~
이탤릭체, 이탤릭체
볼드체, 볼드체
취소선
>인용문
-저자
>인용문
>>인용문
>>>인용문
인용문
-저자
인용문은 최대 3개까지 들여쓰기가 가능합니다.
인용구 안에는 제목이나 리스트, 텍스트박스 등 도 넣을 수 있습니다.
인용문
* * *
***
*****
- - -
-------------------
<br>
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문법을 사용하여<br>웹에서도 보다 빠르게 컨텐츠를 작성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문법을 사용하여
웹에서도 보다 빠르게 컨텐츠를 작성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1. 리스트 1번
1. 리스트 1-1번
2. 리스트 2번
3. 리스트 3번
1. 리스트 3-1번
2. 리스트 3-2번
* 리스트
- 리스트
+ 리스트
\* 특수문자 출력
\- 특수문자 출력
- 리스트 1번
- 리스트 1-1번
- 리스트 2번
- 리스트 3번
- 리스트 3-1번
- 리스트 3-2번
- 리스트
- 리스트
- 리스트
* 특수문자 출력
- 특수문자 출력
테이블 생성
헤더1 헤더2 헤더3 헤더4 셀1 셀2 셀3 셀4 셀5 셀6 셀7 셀8 셀9 셀10 셀11 셀12
마크다운 언어로 문서를 길게 작성해보는건 처음이라 신기해서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정리하여 쓴 글입니다. 대충 어떻게 쓰는 지 알겠고 귀찮으니 이만 글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링크
https://www.kirolsport.es/circuitbase/the-quiet-comfort-of-mini-sex-dolls-emotional-connections-few-talk-about/
https://www.smictomdesflandres.fr/cornerdaily/mini-sex-doll-cleaning-guide-avoid-these-5-mistakes-for-long-term-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