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arr = ['apple','banana', 'orange'];
arr[0] // 'apple'
배열
: 여러 개의 값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자료구조
요소
: 배열이 가지고 있는 값
인덱스
: 배열의 요소는 배열에서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0 이상의 정수
일반 객체과 배열의 구별되는 특징
구분 | 객체 | 배열 |
---|---|---|
구조 | 프로퍼티 키와 프로퍼티 값 | 인덱스와 요소 |
값의 참조 | 프로퍼티 키 | 인덱스 |
값의 순서 | X | O |
length 프로퍼티 | X | O |
자료구조에서 말하는 배열 :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 공간이 빈틈없이 연속적으로 나열된 자료구조.
즉, 배열의 요소는 하나의 데이터 타입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서로 연속적으로 인접해 있다(밀집 배열).
자바스크립트의 배열 : 배열의 요소를 위한 각각의 메모리 공간은 동일한 크기를 갖지 않아도 되며,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지 않을 수도 있다(희소 배열).
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은 일반적인 배열의 동작을 흉내 낸 특수한 객체다.
일반적인 배열과 자바스크립트 배열의 장단점 정리
구분 | 일반적인 배열 | 자바스크립트 배열 |
---|---|---|
인덱스로 요소에 접근 | 빠름 | 느림 |
요소 삽입, 삭제하는 경우 | 느림 | 빠름 |
또한 인덱스로 배열 요소에 접근시에 배열이 일반 객체보다 속도가 빠르다.
length 프로퍼티는 요소의 개수, 즉 배열의 길이를 나타내는 0 이상의 정수를 값으로 갖는다.
// length 프로퍼티 값보다 작은 숫자 값을 할당하면 배열의 길이가 줄어든다.
const arr1 = [1,2,3,4,5];
arr1.length = 3; // 3
console.log(arr1) // [1,2,3];
// 큰 값을 할당할 경우 length 프로퍼티 값은 변경 되지만, 배열의 길이가 늘어나지는 않는다.
const arr2 = [1];
arr2.length = 3; // 3
console.log(arr2) // [1,empty * 2];
배열의 요소가 연속적으로 위치하지 않고 일부가 비어 있는 배열을 희소 배열
이라 한다.
사용하지 않는게 좋음.
배열에는 같은 타입의 요소를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최선이다.
const arr = [1,2,3];
console.log(arr.length); // 3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다.
const arr = new Array(10);
console.log(arr.length); // 10
생성된 배열은 희소 배열이다.
Array.of(1,2,3, 'string') // [1,2,3, 'string']
Array.from({length:5}, (_,i) => i) // [0, 1, 2, 3, 4]
유사 배열 객체 또는 이터러블 객체를 인수로 전달받아 배열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const arr = [1,2,3];
console.log(arr[1]); // 2
console.log(arr[3]); // undefined
인덱스는 값을 참조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객체의 프로퍼티 키와 같은 역할을 한다.
const arr = [0];
arr[1] = 1
console.log(arr); // [0, 1]
// length는 자동 갱신
const arr = [0,1,2];
delete arr[1];
console.log(arr); // [0,empty,1]; , length = 3
delete 연산자는 안쓰는게 좋고, 완전히 삭제하려면 splice 사용한다.
배열에는 원본 배열 (배열 메서드를 호출한 배열, 즉 배열 메서드의 구현체 내부에서 this가 가리키는 객체) 을 직접 변경하는 메서드와 원본 배열을 직접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여 반환하는 메서드가 있다.
가급적 원본 배열을 직접 변경하지 않는 메서드를 사용하는게 좋다.
[1, [2, [3, [4]]]].flat(Infinity) // [1,2,3,4]
고차 함수
: 함수를 인수를 전달받거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순수 함수를 통해 부수 효과를 최대한 억제하며 오류를 피하고 프로그램의 안전성을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고차 함수 또한 이러한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기반을 두고 있다.
위와 동일, undefined -> -1
const arr= ['hello','world'];
arr.flatMap(x => x.split('')) // ['h','e','l','l','o','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