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도대체 왜 Spring을 사용하고 있는건가.... 그래서 한번 적어보고 싶었다. > ### "spring" 이란? JAVA의 웹 프레임워크로 JAVA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한다. JAVA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 틀(Framework)이다.
Spring Securtiy스프링 기반의 App의 보안을 담당하는 스프링 하위 프레임워크!Security는 인증, 권한에 대한 부분을 Filter의 흐름에 따라 처리하게 된다.Spring Securtiy는 보안과 관련해서 체계적으로 많은 옵션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개발자
요즘은 웹이나 어플들을 사용할려면 Database(DB)가 필수 조건이다.(객체를 관계형 DB에 관리하는게 대세야 요즘은!)현재 난 스프링으로 서버 공부중인데, JPA를 사용해서 스프링 서버가 DB에게 쿼리를 날려야 하는데....과연 이 JPA가 정확이 뭐고 어떤 구조
DB나 JPA를 한번쯤 사용해보셨다면, 저 제목인 영속성 컨텍스트나 영속성이란 단어를 들어봤을 것이다.엥.... 그럼 영속성 컨텍스트가 머에요 ㅡㅡ트랜젝션에는 크게 4가지의 특성이 있다.1\. 원자성 (Atomicity)2\. 일관성 (Consistency)3\. 독립
즉시 로딩과 지연 로딩 feat (N + 1 문제)이걸 위해서 일단 프록시라는 것을 알아보자EntityManager를 em이라고 하겠다.일단 여기에 테이블이 두가지가 있다고 가정하겠다.Id, username 그리고 team하고 N:1로 연결되어 있는 Member그리고
일단 이걸 이해할려면 JPA 프록시 이걸 알아야된다.CS질문에서 많이 나오는 질문이기도 하고....실무에서도 꼭 알아야 할 개념이기도 하다고 해서, 이번건 아주 중요하다.어노테이션을 보면, fetch = FetchType.~ 이란 속성이 있다.FetchTypeJPA가
실무에서 지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인짜 중요하다고 한다. 페치 조인 (fetch join)이 뭐시여? 이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이건 그냥 SQL Join문이다. 우리가 지금부터 배울 조인은 JPA에서만 사용되는 문법인 페치 조인 이란 문법이다.
Bean? 이게 뭐야콩이야....? 우엑오늘 드디어 강의가 Spring에 들어가기 시작했고, 가장 기초면서 중요한 스프링 빈(Bean)에 대해 포스팅 할려고 한다.스프링 BeanSpring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pring의 특징에는
Spring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기능공통 기능을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분리, 재사용성을 높이고 코드의 중복을 줄이기 위한 기법※ AspectJ: AOP의 개념을 Java에 도입한 프레임워크예를 한번 들어보겠다.
스프링으로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문서를 찾아보면 Servlet이란 말이 자주 나온다. 근데 이게 뭘까요...? 정확하게 알아보자 (모르는것보단 아는게 약이다!) A. 서블렛(Servlet)? > Servlet 클라이언트가 요청(Req)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말레이시아의 유명한(?) 디버그 신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근데 막상 디버그가 되어도 내 원하는 결과값이 안나온다면 말짱도루묵....ㅠㅠㅠ그래서 원하는 결과값이 나오는지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코드가 존재한다.맨토님께서 "테스트 코드도 작성하는것이 중요하다" 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