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rta코딩클럽 3일차

김석현·2021년 7월 21일
0

Join 절을 이용해 각각의 table을 연결하는 방법

join의 개념

Join 이란?

대수의 연산에 해당하는 SQL의 join절은 하나이상의 열을 새 태이블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대표적으로, left join, inner join이 있고 outer join도 있으나, 강의에서는 앞의 2개만을 다룬다.

Left join

2개의 테이블 A 와 B를 B에게는 없지만 A에게는 있는 필드 값을 기준으로 연결하였다. 위와 같이A테이블을 기준으로 두 테이블을 이었기 때문에 Left join이라고 부른다.

언제 사용될까?

->두개의 테이블을 특정 필드로 연결할 때, 어떤 데이터에게는 비어있는 필드가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users 테이블과 point_users 테이블을 user_id 필드로 연결할때, 유저중에 포인트가 없는 유저또한 존재하므로 point_users중에 포인트가 없는 유저는 null이라고 출력된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null인 것만을(혹은 null을 제외하고) 출력할때 주로 사용된다.

Inner join


2개의 테이블 A 와 B 공통으로 존재하는 필드 값을 기준으로 연결하였다. 위와 같이 교집합의 형태를 함으로 Inner join이라고 부른다.

언제 사용될까?

-> join절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우에 사용된다.

Inner join절을 이용한 각종 예시

profile
Code 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