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ings로 가서
vmware를 기반으로 만들겠다 선택
이걸 위해 미리
virtual network editor에서 hostonly를 만들고
우분투에 networkadapter를 NAT가 아닌 우리가 만든 host-only로 바꿔준다
그 후 우분투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우리가 설정한 host-only와 맞춰줘야함
vm으로 한 ubuntu와 R1(라우트)를 배치하고
선으로 연결
이 선은 랜선같은 느낌이라 생각하면 되는데
그 포트끼리 우분투와 라우트를 연결하는것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작동중이어야함
터미널 같은 창으로 들어가면
R1#이라고 나오는데
R1# -> 설정을 확인할 때
R1# config terminal
단축키 conf t라고만 해도 되긴함
Router(config)# -> 설정을 하는 곳
Router(config)# exit
Router#
Router(config)# interface fa 0/0 -> 인터페이스 모드로
우리와 연결된 선
Router(config-if)#
Router(config-if)# ip address 192.168.1.1(내가설정할주소) 255.255.255.0(서브마스크) -> 아이피 주소 할당
Router(config-if)# no shutdown
Router(config-if)# exit
Router(config)# exit
Router# show ip interface brief
이런식으로 나오면 잘된것
@이러한 설정을 껐다키면 다시 설정해줘야하니 저장을 해줘야함
router(config)# copy run start : 저장
다하고 핑을 확인하면
이렇게 하면 R1은 자기와 연결된 우분투는 확인할수 있지만 연결되지 않은 우분투는 알지 못하기 때문에 연결이 안됨 그래서 라우트 설정을 해줘야함
@ config 상태에서 해야함
Router(config)# ip route [네트워크 ID][서브넷마스크] [인접 라우터 IP주소]
내가 이해한 내용은
Router(config)# ip route [내가 가고싶은 네트워크 대역][서브넷마스크] [가고싶은 대역과 연결된 라우터]
R1의 f1/0은 100.100.100.20으로 되어있는데 이것과 내가 가고싶은 우분투에 연결된 라우터 R2는 f1/0에 100.100.100.30으로 설정되어있다
그래서 R1의 ip route는 R1(config)#ip route 30.30.30.0 255.255.255.0 100.100.100.30 이다
@ 확인할때는 Router# show ip route
설정을 다하면
20.20.20.20으로 설정된 우분투에서 R1(100.100.100.20)을 거치고 R2(100.100.100.30)을 거쳐 30.30.30.30으로 연결됨
클라우드를 만들고
클라우드(인터넷) - 우클릭 - configure
@ 체크박스 체크하면 모든 항목 보임
인터넷과 연결된 vmnet8로 만들고
fa 1/1에 네트워크 연결
라우터를 연결
router(config)# ip route 0.0.0.0 0.0.0.0 [인접라우터ip주소]
우리는 라우트 1에 설정을 하고 있으니 인접라우터ip주소는
라우트 1과 연결된 클라우드에 게이트웨이 주소
router(config)# ip 0.0.0.0 0.0.0.0 192.168.71.2(내거 vmnet게이트웨이)
0.0.0.0 = 모든것을 의미
모든 ip주소와 모든 서브넷 마스크 주소는 192.168.71.2로 가라는 의미
그 후 R1에서 ping 8.8.8.8로 인터넷 연결 확인 가능
!!!뜨면 성공
이제 R2도 클라우드와 연결해줘야하는데
인터넷 연결이 오면 100.100.100.20(R1)으로 가라고 라우터 연결
그후 우분투3으로 가서 ping으로 확인
클라우트에 UDP tunnels 탭으로 가서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와 내 컴퓨터의 포트 번호를 반대로 넣고 remote host에 ip를 연결
라우트간에 내트워크 대역을 맞춰주면 끝
tip
@ ping 오류
목적지를 찾아갈 수 없습니다.
내 연락이 목적지까지 못간다
time out
내 연락은 닿았지만 응답이 안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