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우분투에 파일 설치하기

kst5137·2022년 2월 17일
0

우분투에 다운 받는법

1. 소스코드 방법

wget해서 다운받을 주소 입력

설치하고 싶으면 dpkg -i
dpkg -i elasticsearch-8.0.0-amd64.deb
dpkg -l 하면 목록 볼 수 있음
-l | more로 끊어 보기도 가능
dpkg -r 은 삭제

@ dns 서버 확인 방법
nslookup후 도메인 입력

ping www.naver.com

실제로 설치해보기
cd로 snort-2.9.19로 이동후
apt-get install gcc
이후 ./configure 하면 또 뭐가 없다고 나옴
그럼 없다는거 다운받으면 됨
libpcap은 공식홈페이지에서 tar.gz로 다운 받으면 됨(베리즈에도 잇음)
다 되면 이제 오류가 안뜨고 Makefile이 생겻을 거임
make 명령어 하면 실행파일 생김
이제 pcap-config만 해도 됨
이제 다시 snort를 설치하려는데

이번에는 pcre가 필요함
apt-get install 하면 설치하고 싶은거를 설치하겠다
apt-get remove 어떤거 삭제
uninstall 어떤거 삭제(pip)

snort가 많은 과정이 필요했지만 apt-get install하면 한번에 됨
대신에 저장소에 있는것들(유명한것들)만 가능하니 소스코드 설치 방법 알아야함

뭔가를 다운 받을때는 aptget으로 우선해보고
없으면 공식홈페이지가서 설치파일로 다운로드
이것도 없으면 소스코드로 다운로드

2.원격접속프로그램 설치

@네트워크가 되어있어야하고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쓰는것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서버가 있으면 클라이언트도 있다는 소리
서버 프로그램 설치후 반드시 확인할거 해당서버거 실행중인가

systemctl status sshd
netstat -anlp만 치면 너무 많이 나옴
netstat -anlp | more(포트번호 확인하는 명령어 - 어떤프로그램인지 구분해야함)
서버프로그램마다 포트번호 알고는 있어야함
sshd는 22번 포트를 사용중(포트가 안열려있으면 정상적으로 실행 x)

more는 끊어서 볼려고 친거
| grep 프로그램명이나 포트번호로도 검색 가능

파일이 설치가 아예 안됏을수도 있는데
설치 파일의 경우
dpkg -l | grep ssh 같이 검색해서 설치됐나 확인 가능

putty.exe 는 여러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리눅스의 로그
윈도우의 이벤트 뷰어랑 같은 역할
syslog(로그를 관리)
우분투나 최신 리눅스는 rsyslog라고함

.conf로 끝나느 모든 파일은 포함

형식
[facility].[level] action

facility

level : 밑으로 갈수록 심각하지 않은거
(warning까지는 무시해도 됨 ex)최신버전 쓰세요 )

3. 실습

우분투 3대중 1대에 서버 다른 2대에는 클라이언트 하기
서버
설정
설정후 rsyslog 재시작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하는 방법 (의도적으로 로그 남기기)
ex)
logger -p local1.err loggin zzzzz

. @20.20.20.23

로그가 아니라 파일 남기기
파일시스템 파일을 저장하는 형식(체계)

공유폴더 만들기

1) 서버컴퓨터

dpkg -l | grep nfs로 nfs가 있는지 확인
없으면 다운로드
apt install nfs-kernel-server
다 되면 공유폴더 생성
mkdir /nfs_share
그후 vi /etc/exports로 가서 공유폴더를 등록해야함
/nfs_share 192.168.71.0/24(rw)
공유할 폴더 네트워크 대역/24(권한(지금은 read write))
저장하고
서버를 재시작
systemctl restart nfs-kernel-server
서버를 재시작 하면 무조건 2가지를 해야함
1. 서버가 켜져있는지
systemctl status nfs-kernel-server

  1. 서버가 listen 중인지
    포트번호를 검색한뒤
    netstat -anlp | grep 111(포트번호)

2) 클라이언트
먼저 nfs 가 있는지 확인
dpkg -l | grep nfs
없으면 다운로드
apt install nfs-common
mkdir /nfs_client
후에 mount
mount [192.168.71.131]:/nfs_share /nfs_client
mount 서버컴퓨터 ip:/서버에서 공유하고싶은 dir이름 /클라이언트가 미리 만들어둔 dir

그후 서버에서 파일을 만들면 클라이언트에서도 그 파일이 보임
서버에서 chmod 777 /nfs_share/ 하면 권한부여가능

profile
공부중인 학생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