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은 데이터베이스의 정규화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개념을 대충 알고 있긴 했으나 용어가 나올 때마다 헷갈려서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려고 합니다.망나니 개발자 님이 정리해놓으신 정규화 블로그를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설명드리는 예시도 해당
이번 포스팅에서는 SQLD 시험 관련 개념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책을 풀면서 나오는 개념들을 쭉 정리해볼게요 ㅎㅎ ✈️ SQL 문장의 종류 |제목|내용|설명| |:---:|:---:|:---| |데이터 조작어(DML: Data Man
이번 포스팅은 Database SQLD 자격검정 실전문제 개념 정리 1편에 이어 2편을 다루고자 합니다.사용자 SYS가 소유하며 모든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테이블입니다.SELECT ~ FROM ~ 의 형식을 갖추기 위한 일종의 DUMMY 테이블입니다.DUMMY라는 문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책을 보며 익힌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EQUI JOIN이란? EQUI JOIN은 SQL에서 두 테이블을 특정 열의 값이 동일한 행들로 연결하는 조인 방식입니다. EQUI JOI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책을 보며 익힌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Window 함수는 SQL에서 데이터 분석 및 집계 작업을 수행할 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기본적인 집계 함수와 달리, Window 함수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책을 보며 익힌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ROWS BETWEEN UNBOUNDED PRECEDING AND CURRENT ROW와 ROWS CURRENT ROW는 SQL에서 윈도우 함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책을 보며 익힌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Oracle에서 테이블 생성 방법 오라클에서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서는 CREATE TABLE을 사용하여 컬럼명,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덱스(Index)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인덱스는 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책에서 원하는 내용을 찾기 위해 책의 모든 페이지를 찾는 것 보다 앞에 목
이번 포스팅에서는 MySQL의 EXPLAIN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MySQL의 EXPLAIN은 MySQL 서버가 어떠한 쿼리를 실행할 것인가, 즉 실행 계획이 무엇인지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명령어입니다. 쉽게 말해 데이터 베이스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JOIN, WHERE, ORDER BY와 인덱스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먼저 JOIN의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Nested Loop Join은 가장 기본적인 JOIN 알고리즘입니다. Nested Loop Join 방식은 한쪽 테이블의
이번 포스팅에서는 복합 인덱스와 커버링 인덱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복합 인덱스(Composite Index)는 두 개 이상의 컬럼을 조합하여 하나의 인덱스를 생성한 것을 의미합니다.주로 WHERE 절에서 AND 조건에 많이 사용되는 컬럼들을 결합 인덱스로 구성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