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구조 란.. 자료를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저장하고 처리할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 입니다. 자료구조의 종류 로는 크게 4가지로 나뉘어 볼 수 있는데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과 같은 데이터 타입에 해당하는 단순구조 자료들 사이게 관계가 있는 1대1 구조인 선형 구

배열은 자료형이 같은 자료를 나열하여 메모리에 연속으로 저장하여 만든 자료 그룹 입니다.1차원 배열의 선언과 초기화 다차원 배열의 선언과 초기회포인터란 사용하는 모든 변수는 메모리의 특정 위치에 저장되는데 그 위치를 나타내는 메모리 주소를 뜻합니다.포인터 선언포인터 연

선형 리스트 란 리스트에 나열한 원소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리스트로 순서 리스트 라고도 합니다.순차 자료구조 란 논리적인 순서와 물리적인 순서가 항상 일치해야 하는 자료구조 입니다.자료를 구조화 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나열이며, 이렇게 나열한 목록을 리스트(List)

linked list : 모든 노드(node)가 다음 노드의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가지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조포인터를 가지는 구조의 처리를 위해 구조체(struct)를 사용노드: 연결 자료구조에서 원소는 연결될 다음 원소에 대한 주소를 저장해야 하므로 <원소

스택: 선형리스트로서 입출력이 한쪽으로 제한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구현시 배열을 생성합니다. LIFO(LastInFirstOut)데이터의 입력 동작을 push, 데이터의 출력동작을 pop이라고 하며, 데이터 입출력은 top부분에서 수행합니다. 함수호출, res

1.)트리의 대한 정의: 1개의 root가 존재하며, 루트 노드에서 간선(edge)으로 다른 노드를 연결하여, loop가 허용되지 않는 구조이고, 루트 노드 제거시 t1 t2... tn개의 subtree 의 집합으로 구성됩니다. 2.) 트리의 용어: ROOT NODE

1.) 정의: 정점(vertex)와 간선(edge)으로 구성되며,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는 데이터구조2.) 용어: adjancy : 그래프에서 2개의 정점이 간선으로 연결 path : 한 정점에서 임의의 정점에 이르는 경로를 의미 lengt

무질서한 데이터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재배치 하는 과정이다.정렬된 결과에 의해 ASCENDING SORT(오름차순: 작은 데이터 -> 큰 데이터) 나 DESCENDING SORT(내림차순: 큰 데이터 -> 작은 데이터) 로 구분 정렬 방법

1.Sequential search : Linear Search 2.Binary search(이진탐색) : 전체 데이터 순위 1/2씩 줄여가며 탐색을 진행, 정렬된 데이터를 기반 찾고자 하는 데이터의 범위를 절반씩 줄여가며 탐색을 수행 mid:(low + high)

이진트리 에서 첫번째 값을 root node로 하고, 이후 입력되는 값이 적으면 왼쪽 크면 오른쪽으로노드 생성해싱: key to address transformation direct acess Method 방법으로 키값을 가지고 데이터가 연결된 주소를 바로 접근


Abstract Data Type 어떠한 것을 대상으로 그 대상의 기능이 무엇들이 있는지 나열한것. > 배열을 이용한 리스트의 구현 adt 정의 adt 이용해 main함수 정의 adt 이용해 리스트 구현 > 배열 adt void ListInit(List plist)

원형 연결 리스트 포인터 변수 head가 무엇을 가리키느냐에 있다. void LInsert(List *plist, Data data) // 꼬리에 노드를 추가 void LInsert(List *plist, Data data) // 머리에 노드를 추가

스택의 정의 스택이란 나중에 들어가는 것이 먼저 나오는 구조인 후입선출 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나열 구조 이다. > 스택의 ADT 크게 3가지로 나뉘어 볼 수 있다 push(넣는다) pop(꺼낸다) peek(들여다 본다) > 배열 기반 스택의 구현 헤더파일 메